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신화를 통해본 신라토기문화의 감수성
Shilla Earthenware Culture`s Sensitivity Observed at a Viewpoint of Mythology CC Cultural Phenomenon Based on Technology Convergence
박경희 ( Park Kyung Hee )
한국디자인포럼 15권 189-199(11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63960

신라신화에는 박혁거세신화, 석탈해신화 그리고 김알지신화가 있으며, 이 신화에는 알, 백마, 태양, 우물, 용, 뱀 등 여러 가지 주술적이면서 샤머니즘적인 조형요소가 나타난다. 이 조형요소들은 말머리 장식 뿔잔, 알이나 박과 같이 둥근 대형 항아리, 토기 표면에 장식된 밝은 빛을 상징하는 원점문과 거치문, 고배 다리에 물결을 상징하는 파상무늬, 금관에 붙어 금빛을 상징하는 영락이 달려 있는 토기, 용의 몸에서 태어난 것을 상징하는 토기 서수형 주자 등 신라토기의 형상이나 문양으로 표현되어 있다. 즉 신라토기에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신라인들의 무위자연적인 미의식, 무관심하다싶은 소박한 미의식 그리고 어떤 정확한 형상에 집착하지 않는 부정형의 미의식이 주술적이면서도 샤머니즘적인 분위기와 함께 조화되어 있음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현실이 예술작품에 중요한 조형요소가 되고, 현재의 사상의 흐름 또한 작품에 임하는 태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한다. 말하자면 신라토기가 신라시대를 대변하듯 현대의 작품 또한 개인 놀이의 결과물이 아니라 현재의 우리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창작되었으면 한다.

There have existed Parkheukgerse mythology, Suktalhae mythology, and Kimalji mythology, in which there appear various formative elements symbolic of incantation and shamanism, such as eggs, white horse, the sun, well, dragon, and snake. These formative elements are represented typically as shapes or patterns characteristic of Shilla earthenware; for example, horse-head-decoration horn-shaped cup, round large-size pots such as eggs or gourd, round dotted pattern and wedge-shaped pattern, wave-shaped pattern on the leg of Gobe[ a kind of cup], earthenware having Yongrak[a kind of decorations] suggestive of gold light emitted from a gold crown, an auspicious-animal shaped Juja[a kind of pictographic blue porcelain] representing a birth of a dragon, etc. Namely, it can be found that Shilla people`s consciousness of beauty with their sheer naturalism-seemingly rather indifferent and humble-while pursuing something natural in making Shilla earthenware and their indefinite sense of beauty without hanging on to something precise are in good harmony with the incantatory and shamanist atmosphere. Such facts give a solemn message to those of us living in modern times that the reality we are facing also could be an important formative element in creating art of work and the current stream of ideology as well as an attitude toward creating art of work. In other words, like Shilla earthenware represents the periods of Shilla, we also have to do research and create art of work on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hat our art of work in modern times could represent our current ages, not limited to the level of playing game for fu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