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1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픽셀 아트 캐릭터의 시각 행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visual action of pixel art characters in Personal User Media
김정연 ( Kim Jeong Yun ) , 조혜린 ( Cho Hye Rin )
한국디자인포럼 15권 127-137(11pages)
UCI I410-ECN-0102-2018-600-000063900

픽셀을 기반으로 하는 비트맵 그래픽 방식은 앨리어싱과 안티앨리어싱 이미지를 만든다. 그 중 픽셀아트는 앨리어싱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픽 이미지를 말하며, 적은 용량으로 사용되어 로딩 속도가 빠르고, 픽셀로 표시되는 컴퓨터 모니터의 그래픽 표현 방식과 일치하기 때문에 모바일과 웹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2, 3년 동안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1인 미디어 형태의 사이트의 캐릭터와 악세사리 등은 픽셀아트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캐릭터와 아바타는 여전히 픽셀아트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1인 미디어 사이트인 싸이월드에서 연령별로 선호하고 있는 캐릭터의 희(喜), 로(怒), 애(哀) 락(樂)에 대한 시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밖의 여러 미디어 아이템의 디자인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싸이월드 자체가 자신의 이미지를 만드는 공간이니 만큼 자신에 대한 좋은 감정을 나타내고자 연령에 상관없이 대부분이 희(喜)와 락(樂)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Bitmap graphic methods based on pixels make aliasing and anti-aliasing images. Of those, pixel art refers to graphic images made by aliasing methods and it has a fast loading speed because it uses a small volume capacities, and because it is consistent with the graphic expression methods of the computer monitor, which is expressed in pixels, it has the merit of being easy to use both in mobile instruments and on the web. Characters and accessories on one-person media sites, which have steadily been used for the past two to three years, began on the basis of pixel art and characters and avatars are still made in pixel art forms.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sadness, anger, and joy of characters preferred by age group in the one-person media site, Cyworld and attempts to present design improvement methods for other media items.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it was shown that, as Cyworld is a space which is used to express one`s own individual image, happiness and joy were preferred most, regardless of a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