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그래픽 작품들의 활용은 이제 인터넷을 통하여 전 세계적으로 그 활용도와 광고효과 면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디지털 첨단 산업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영상언어로 표현되는 디지털 미디어 게임 캐릭터 시장의 투자 규모 및 사업으로서의 육성은 21C를 특화시키는 영상문화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뉴미디어 콘텐츠 중 하나인 디지털 미디어로 표현되는 캐릭터의 개발, 그중에서도 온라인 게임 캐릭터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콘텐츠와 인터렉티브한 영상미디어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분야의 심도 있는 연구와 끊임없는 우수한 캐릭터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시기이다. 특히 온라인에서 인기 있는 게임 캐릭터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선호도와 비주얼 특징, 이러한 것들이 전체적인 게임에서의 컨셉과 역할에서 적합한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뉴미디어 캐릭터의 특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제에서 다루어지는 디지털 미디어 캐릭터의 역할과 영상미학적 원리와 구조의 분석을 바탕으로 그 원본적인 이론적 근간을 정립하고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인 측면과 시놉시스와 연결되는 디지털 게임 캐릭터의 비주얼 모티브, 게임에서의 연출되는 액션과 보다 적극적이고 현실성이 높은 미디어 캐릭터 디자인을 실현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growth of the digital media game character industry, the development of motion language, and the increase of capital investments in the digital media industry. These developments have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 new motion culture. Especially, expression through digital media forms has revolved around the creation of media characters. The present is a critical time for the study of digital game characters in a variety of contents and the study of the uses of interactive motion media. Within the internet, there has been a world-wide increase of graphic works in multi-media. The adaptability of graphic works used for advertising has also fueled this increase. This paper`s thesis is based on analyzing the strategy and principal of animation motion aesthetics. Based on this analysis a theoretical foundation can be established and classifications for digital game character`s roles can be created with the ultimate goal of using this analysis to create realistic media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