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파생상품시장의 투자심리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Investor Sentiment in Derivatives Market and Forecasting Stock Returns
이문형 ( Moon-hyoung Lee ) , 윤선중 ( Sun-joong Yoon )
금융연구 31권 2호 1-40(40pages)
DOI 10.21023/JMF.31.2.1
UCI I410-ECN-0102-2018-300-00057070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본고는 개인투자자들이 활발하게 거래하는 KOSPI200 파생상품시장(선물 및 옵션)의 긍정적 거래량과 부정적 거래량 정보를 이용해 투자자 심리를 측정하고, 이러한 정보가 KOSPI 지수의 월간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또한 추정된 파생시장 심리지수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 및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심리지수와 가지는 관련성을 VAR 분석을 이용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물시장의 심리지수와 옵션시장의 심리지수는 모두 1개월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계수의 부호는 부의 값으로 투자자심리에 의한 수익률의 과도반응현상을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월 이상의 전망기간에서 투자심리지수는 유의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지수의 일반 특성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VAR 분석 결과,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VKOSPI) 및 소비자심리지수는 파생거래 심리지수와 독립적 정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파생시장 심리지수에 비해 투자심리측정에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기 전후의 분석에서는 금융위기 전에는 선물시장 투자심리가 주식수익률의 예측력이 컸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옵션시장 투자심리만이 예측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investor sentiment by using turnover volume information in the KOSPI200 derivatives market (futures and options) and to test whether the sentiment forecasts KOSPI monthly returns. More specifically, we calculate the positive turnover (futures sell, call option buy, put option sell) and the negative one (futures sell, call option sell, put option buy) of individual investors in the KOSPI futures and options markets, and we define a positive volume over negative one as a investor sentiment index in derivatives market. Next we investigate whether the sentiment forecasts 1, 2, 3, and 6 month KOSPI returns through a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we conduct a VAR (Vector Auto-regression) to analyse how the newly constructed derivatives investor sentiment index is related to VKOSPI called a fear index and the Composit Consumer Sentiment Index produced in the Bank of Korea. We further conduct a Granger causality test, an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a variance decomposition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derivatives market investor sentiment and other indices. Finally, we analyse the change of investor sentiment`s information power arou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is known to have a strong effect on investor sent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ind that first, both investor sentiments in futures market and options market show high forecasting power of one month stock returns. Second, a VAR analysis confirms that VKOSPI is not related to investor sentiment, but to stock returns. Third, the Composit Consumer Sentiment Index has independen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investor sentiment. It is rather affected by the past stock returns. Finally, we can find that futures market investor sentiment has a stronger power in forecasting stock returns than option market investor sentiment before financial crisis. However after the crisis, only the investor sentiment from the options market has a forecasting power for stock returns.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자료 및 파생시장 심리지수
Ⅳ. 파생시장 투자심리의 수익률 예측
V. 파생시장 투자심리, 변동성지수 및 소비자심리지수의 관계분석
Ⅵ. 금융위기 전후 부표본(Subsample) 분석
Ⅶ.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