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단토가 예술을 `깨어 있는 꿈`이라고 정의한 이유를 분석했다. 단토의 새로운 정의는 기존의 `구현된 의미`라는 자신의 예술 정의를 대체하는 정의가 아니라, 예술작품이란 예술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수사적 장치를 담고 있는 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필자가 보기에 단토는 외연이 너무 넓다는 비판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구현된 의미`가 뜻하는 바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깨어 있는 꿈`이라는 정의를 도입한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필자는 단토의 대표 저서인 『일상적인 것의 변용』, 『예술의 종말 이후』, 『미의 남용』에서 단토가 말하는 수사적 장치를 찾아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단토의 이전예술 정의의 한계와 `깨어 있는 꿈`이라는 정의에서 단토가 주장하려고 했는 바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예술적 재현의 고유한 속성을 보여주는 은유와 양식을 분석했다. 이것들이 단토가 말하는 `깨어 있는 꿈`을 위한 수사적 장치로 이용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예술작품의 미적 속성들을 예술적 수사라는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The paper analyzed why A. Danto defines a work of art as `a wakeful dream`. Through this, I assert that Danto`s new definition does not replace his old definition and Danto introduced it to emphasize art works as having rhetoric devices. I insist that Danto defined arts in a new way to refute the argument in which it is too broad to classify arts by Danto`s definition of art and, to clarify his old definition. To draw this conclusion, I sought to analyze artistic rhetoric devices in his books,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 『After the End of Art』, 『Abuse of beauty』. In chapter 2, I analyzed the weak points of Danto`s previous art definition, and what was meant by `a wakeful dream.` In Chapter 3, I analyzes the metaphors and styles of arts that shows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rtistic representation. In Chapter 4, I analyzed the aesthetic properties of works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artistic rhetoric. I assert that they are used as rhetoric devices for `a wakeful d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