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4일 한국 IVP(Inter Varsity Press)에서 번역 출간된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책 『알라』는 2011년 미국에서 Allah : A Christian Response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이후 미국에서 적잖은 논란속에 기독교내 화제가 되었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이, 이미 예견된 듯 하지만 한국에서 번역 출간된 볼프의 책 『알라』는 출간이후 한국에서도 적잖은 논란속에 회자되고 있다. 정치신학적 입장에서 전략적으로 기술된 것이라는, 이슬람의 `알라`가 기독교의 하나님과 같다는 볼프의 입장은 종교다원주의와 종교혼합주의를 우려하는 복음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본질적 문제를 간과한 무분별한 발상이라고 치부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선교학 입장에서 복음의 본질인 `Text`를 중시할 것이냐 복음의 증거를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Context`를 중시할 것이냐의 문제로 일축할 수 있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슬람권 선교를 위한 상황화신학적 이슈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에 볼프의 『알라』에 대한 선교신학 연구로 상황화신학 측면에서 본 논제를 다루었다. 먼저는 볼프의 『알라』에 대한 신학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슬람의 `성령`론적 관점에서 기독교의 삼위일체 신관과 성령을 중심으로 본질적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의 정치신학적 담론에서 비롯된 『알라』가 상황화신학 관점에서 명백한 본질적 차이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복음주의 운동의 대표격인 로잔신학에서 강조하고 있는 `온전한 복음`을 증거 한다는 차원에서 고려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하나님 자신의 영인 성령의 측면에서 삼위일체 신관을 조명하여 기독교의 하나님이 이슬람의 알라와 본질적으로 같을 수 없으며 소위 정치신학적 측면에서 이슬람의 알라가 기독교의 하나님과 유일신적 관점에서 같다고 할 경우 발생되는 선교적 상황화신학의 문제점들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볼프의 『알라』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그의 정치신학담론은 바티칸선언문을 기초로 하고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종교 다원주의적 사회주의 해방신학이라고 볼 수 있겠다. 우병훈 교수는 볼프가 『알라』에서 보여주고 있는 삼위일체론은 그의 또 다른 책, 『삼위일체와 교회』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볼프는 『삼위일체와 교회』에서 삼위(三位) 안에 세 개의 의지가 존재하는 사회적 삼위일체론을 이야기한다. 무엇보다도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있어서 볼프는 이슬람의 영인 꾸란의 `성령`이 신성이 아닌 인간의 자유의지로 인식될 수 있다고 한다. 『알라』의 서두에서 바티칸 선언문을 언급하면서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은 동일한 예배대상이라고 강조한 바 있는데, 여기서 볼프가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아닌 유일신론을 언급한 것은 사회적 삼위일체론에서 이슬람의 영, 꾸란의 `성령`을 신성이 아닌 인간의 자유의지로 인식했기 때문에 삼위(三位) 안에서 세 개의 의지가 존재하지만 결국 신성은 하나라고 보아 유일신론을 이야기 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그러므로 볼프의 『알라』는 `성령`을 기독교의 삼위일체적 신성으로 이해하지 않고 인간의 자유의지로 인식하여 기독교와 본질적으로 다른 `하나님`을 이슬람교의 `알라`와 동일시 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예배대상으로 보아 궁극적으로 무슬림을 복음증거의 대상으로서가 아닌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상황화에 있어서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복음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으로, `알라`의 신명칭 역사마저도 고려하지 않고, 이슬람교가 태동할 때 기독교의 아람어 `알라`에서 무분별하게 신명칭을 차용한 후 현재까지 삼위일체를 부정하면서도 사용하고 있는 이슬람교의 부적절한 상황화 현상으로, 볼프의 『알라』는 기독교 선교신학적 입장에서 혼란을 가중시키는 신학적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The book 『Allah』, translated and published by IVP (Inter Varsity Press) Korea on January 4, 2016, was written by Miroslav Volf and first published in 2011 in the US under the title “Allah : A Christian Response.” Since the first publication, it has become a subject of no small dispute in the Christian community of the US. Possibly reflecting such an atmosphere, and as might have already been anticipated, 『Allah』, the Korean version of the Volf`s book,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dispute in Korea also since its publication. From the viewpoint of evangelical theology, which worries about religious pluralism and religious syncretism, Volf`s standpoint that the book was strategically written from a political theological viewpoint, and that the `Allah` of Islam is same as the God of Christianity, is cur-rently considered an indiscreet way of thinking that overlooks fundamental problems. From the standpoint of missiology, these problems could be briefly summarized as the problem of wheth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ext,` which is the plain foundation of the gospel, or strategically on `Context` to facilitate sharing the gospel. Therefore, in short, it would have to be considered a theological contextualization issue for missions to the Islamic block.
Accordingly, the writer studied as a contextulizing mission theological approach to the Volf`s book 『Allah』 on the topic. First, a review was made concerning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Volf`s book 『Allah』, and intrinsic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Islamic `pneumatology` (Jinn - created spirit) and Christian trinitarian theology,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Holy Spirit (God - creator himself). Then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see if, in spite of the problems of such evidently intrinsic differences from the contextual theological viewpoint, the book 『Allah』, which basically is his political theological arguments, can be considered to be facilitating the witness of `the whole gospel` that is emphasized by Lausanne theology, which is the theology of a representative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Most importantly, by illuminating the trinitarian doctrine of God,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Holy Spirit, the Spirit of God himself, it was pointed out that the God of Christianity cannot in nature be same as the Allah of Islam; while the prob-lems of missiological contextual theology were also described that occur by assuming from the monotheistic viewpoint that the Allah of Islam in the aspect of so-called political theology is same as the God of Christianity.
Volf`s political theological arguments in his book 『Allah』 could be taken as a socialistic liberation theology of religious pluralism, based on Vatican declaration and rooted in Moltmann`s `theology of hope.` Professor Woo Byeonghoon pointed out that the trinitarian theology shown in the Volf`s book 『Allah』 is much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his another book 『The Trinity and the Church』. In 『The Trinity and the Church』, Volf describes the social trinitarianism that involves the existence of 3 wills in 3 persons. Most notably, he claims that according to social trinitarianism, `the holy spirit` written in the Quran, the spirit of Islam, can be interpreted as human free will, not as deity. Whereas at the beginning of 『Allah』, with a mention about Vatican declaration, he emphasizes that the God of Christianity and the god of Islam are the same object of worship. In this part of the book, however, he refers to monotheism rather than social trinitarianism. A possible reason for this is that he cognized `the holy spirit` written in Quran, the spirit of Islam, as human will according to the social trinitarianism and therefore that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3 wills in the 3 persons, he considered there ultimately exists only one deity. Thus, by interpreting `the holy spirit` written in the Quran as human will and not as the trinitarian deity of Christianity, in self-contradiction Volf`s 『Allah』 not only considers the `Allah` of Islam as `a god` that is intrinsically different from the God of Christianity, but also, by considering them as the same object of worship, ultimately misleads the readers to cognize Muslims as the object of coexistence rather than the object of sharing the gospel. This mutilates the essence of the gospel, which must be considered above all in contextualization-without even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god`s name `Allah.` This name was indiscreetly adapted from Christianity when Islam was founded, as `Allah` was the Aramaic word for `God` that had been used in the Christian world even before the foundation of Islam. Since then Islam has been using `Allah` as the name of its god, but still denying the Trinity of Christianity. Thus, from the standpoint of Christian mission theology, Volf`s 『Allah』 is an improper contextualization of the gospel for the Islamic bloc, with a standpoint causing worse con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