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사외이사와 미국의 독립이사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동일한 시기(2009년부터 2014년)의 한국과 미국 기업 자료를 바탕으로 이사회의 기업가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기업의 이사회 규모는 평균 6.21명으로 미국의 9.13명에 비해 작은 편이다. 두 번째, 한국의 경우 이사회의 독립성(사외이사 비율)은 44.75%로, 미국 이사회의 독립성(독립이사 비율) 78.84%보다 낮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경우 이사회의 독립성(사외이사 비율)과 기업가치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미국의 경우 이사회의 독립성(독립이사 비율)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국내에서 이사회의 여러 제도개선이 진행되었으나, 아직은 미국의 선진 이사회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사회의 독립성과 관련한 한국 사외이사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board of directors on firm value in U.S. firms with quantitative methodologies in order to compare those of Korean firms. Our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U.S. and Korean firms during 2009~2014. First, the average board size of Korean firms is 6.21,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U.S. firms (9.13). Second, the board independence of Korean firms (which is measured by the portion of outside directors) is 44.75%, while the portion of independent board members is 78.84% in U.S. firms on average. Finally, the firm value of Korean firms is not related to the board independence (portion of outside directors on board). However, the higher board independence leads to the greater firm value in U.S. firms. Although there were a lot of attempt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in terms of board of directors in Korea since 2000, it is not sufficient to make corporate boar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firm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