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퇴적물 용출수를 이용한 오염 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 가능성과 방향: 요각류 유생의 성장 및 분자생체지표의 활용
Potential and Future Directions of Effect Assessment of Polluted Sediment Using Sediment Elutriates: Effects on Growth and Molecular Biomarkers on Marine Copepod
원은지 ( Eun Ji Won ) , 강예희 ( Yehui Gang )
환경영향평가 26권 3호 207-216(10pages)
UCI I410-ECN-0102-2018-500-000582825

오염퇴적물의 생물영향평가를 위해 다양한 생물검정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퇴적물에 직접 노출시키는 평가 방법은 실험과정 동안 섭식 및 섭식에 의한 생물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으며 관찰을 위한 실험 생물이 대형생물 또는 저서성 생물에 제한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짧은 생활사를 가지며 많은 연구에서 독성 결과가 축적되어 있는 요각류와 퇴적물의 용출수를 이용해 생물영향평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염의 정도가 다른 두 정점의 퇴적물 용출수에 해산 요각류를 노출 시켜 개체 및 분자 수준에서 관찰되는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해산 요각류의 유생의 성장과 분자생체지표의 발현에서 오염된 퇴적물의 용출수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자생체지표의 발현은 용출수의 희석 정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 용출수를 이용한 생물영향평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 결과를 바탕으로 퇴적물의 오염 및 생물영향평가에 있어 용출수 노출시험이 오염물질의 정량적 분석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많은 자료의 축적과 활용성에 대한 평가 및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Several bioassays have been performed for assessment of the impact of polluted sediments. The direct exposure method using sediments is limited by difficulty controlling feeding and its effects on organisms. Furthermore, only macro-organisms and benthic organisms a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sediment elutriate as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act assessment, copepods, small organisms with a short life cycle, were exposed to sediment elutriates, and several end-points were measured. As a result, sediment elutriates prepared from polluted sites caused growth retardation in marine copepods. In terms of molecular biomarkers, antioxidantrelated and chaperone protein gene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Thus, we suggest that sediment elutriate tests can provid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oxicity assessment using whole sediment sample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obtain sufficient data for future applications.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결 론
V. 고 찰
사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