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의 쓰기 교육은 한글 깨치기와 표준적 글자 쓰기에서 출발하여 점차 텍스트의 생성과 조직을 강조하는 글쓰기 교육으로 나아간다. 초등학교 2학년은 문자 해득과 철자 쓰기에서 나아가 본격적인 글쓰기 활동을 시작하는 전환기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 224명이 작성한 글 896편을 수합하여 이 시기 학생들이 갖는 발달상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학기별로 설명글과 이야기글을 분석하여 수량적인 측면(쓰기 유창성과 정확성 수치), 질적인 측면(영역별 점수와 총점)의 기본적인 정보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설명글과 이야기글에서 발달상 `문장 쓰기` 단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학기에 비해 2학기 때 쓰기 유창성이 크게 발달하나 글의 질적인 변화는 미약했다. 또한 장르에 관계 없이 성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쓰기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남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기에 따라 동일 학생의 쓰기 수준이 달라지는 양상(쓰기 수준의 이동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2학년 학생들의 쓰기 발달 양상을 이해하고 쓰기 지도의 내용과 방법을 실제화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896 writing samples(expository texts & fictional stories) written by 244 second graders in their first and second semester. Data analyses and interpretations were conducted focusing on four points; quantity, quality, gender, and levels of writing.
This study first found out various information for writing fluency and accuracy based on the numbers of syllables, sentences, and spelling errors written by 20 minutes. Changes in the quality of writings were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gap of the amount of writing in two semesters. In addition, over 24∼40% of students were repositioned their levels of writing in two semesters. Gender differences were broadly identified in students` writing performances. Especially the percentage of male students were critically high among underachievers. Finally, some idea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instructio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