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고립된 윌리엄 제임스와 철학에서 분리된 심리학 ― 심리학사의 사회학적 재구성
William James`s Isolation and the Separation of Psychology from Philosophy: A Sociological Reconstruction of History of Psychology
민병교 ( Min Byoung-kyo )
DOI 10.37743/SAH.114.8
UCI I410-ECN-0102-2018-300-000580850

이 논문에서는 윌리엄 제임스가 심리학의 창시자로서 정당성을 상실하고 실용주의 철학자로 남게 된 원인이 그의 연구관심 변화에 있었다는 기존 제임스 연구자들과 달리 심리학과 철학의 인식적/제도적 분리라는 미국 학문분류체계와 대학분과 구조의 변화에 있었다고 논한다. 이를 위해 심리학과 철학의 분리가 일어나면서 제임스의 심리학은 정당성을 잃게 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에서 이 변화는 심리학자들 간 분과투쟁에서 분트주의 실험심리학자 ― 분리주의자 ― 집단이 제임스로 대표되는 과학적 철학자-심리학자 ― 비분리주의자 ― 집단에 승리했기 때문에 일어났고, 이는 과학적 철학자-심리학자 집단이 분트주의 실험심리학자 집단보다 인식론적으로 열등했기 때문이 아니라, 전자의 동맹이 와해되었기 때문이라고 논한다.

In this article, I explore William James`s move from his acclaim as a renowned American new psychologist to that of a philosopher in the late-1890s. In contrast with other James scholars who assume that such change reflected James`s shifting interests, I argue that changes within disciplinary structures matter more.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of psychology from philosophy in the United States played an active role, and that this change led diminished the legitimacy of James`s psychology. I additionally argue that Wundtian experimental psychologists` triumph over the scientific philosopher-psychologists, including James in their disciplinary struggles, played a centrifugal role in this change in disciplinary structure. I find that James and his allies were defeated, not because they were epistemologically inferior to the Wundtians, but because their alliance was broken.

1. 머리말
2. 심리학과 철학의 분리를 신심리학자들 간 투쟁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이유: 1890년대 미국, 신심리학 시대의 시작, 그러나 분리되지 않았던 심리학과 철학
3. 심리학자들 간 분과투쟁을 야기한 제임스: 의식의 단일성 문제와 실험심리학에 대한 공격
4. 분과투쟁의 전개: 분리주의자들의 반격과 비분리자들의 재반격
5. 과학적 철학자-심리학자들의 진리 논쟁과 고립된 제임스, 그리고 심리학과 철학의 분리
6. 맺음말: 분과투쟁 이후 심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