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제주 자생해조류인 감태로부터 에탄올 추출법을 활용하여 제조한 추출물인 ECE의 피부각질형성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측정 결과, ECE는 18.09%의 폴리페놀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NF-α/IFN-γ로 염증 자극을 유도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ECE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한 결과, ECE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4, IL-6, IFN-γ 및 TNF-α)과 케모카인(MDC 및 RANTES)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ECE는 TNF-α/IFN-γ로 염증을 유도한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IκBα와 NFκBp65의 인산화를 억제시킴으로써 NF-κB signaling의 활성화를 차단하였다. 이 모든 결과로부터, ECE는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NF-κB signaling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발현을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인 ECE가 항피부염증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s of Ecklonia cava ethanol extract (ECE)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feron (IFN)-γ-induced inflammation in HaCaT, a human keratinocytes. First of all, we identified that ECE did not show cytotoxicities at the used all concentrations. Also, ECE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β, IL-4, IL-6, IFN-γ and TNF-α, compared to the only TNF-α/IFN-γ-stimulated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an inflammatory chemokine such as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were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ECE in TNF-α/IFN-γ-stimulated HaCaT keratinocytes. Furthermore, ECE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NF)-κBp65 by regulating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NF-κB. From these results, we indicated that ECE exer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NF-α/IFN-γ-stimulated chemokines and pro-inflammatory molecules via a blockage of NF-κB activation in HaCaT keratinocytes. Our results suggest the preventive potential of ECE as a natural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