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A case of inoperable malignant insulinoma with hypoglycemia
박지호 , 홍은미 , 이영래 , 김현민 , 김재택
UCI I410-ECN-0102-2018-500-00060439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인슐린종은 인슐린의 과다분비에 의한 저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종양으로, 90% 정도가 양성으로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다. 타기관의 전이를 동반한 악성 인슐린종은 5~15%로 보고되며, 악성 인슐린종의 진단은 인접한 조직의 침범유무와 타 장기의 전이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나 전신항암화학요법, 색전술, 고주파열치료, 소마토스타틴 유사물질과 같은 치료가 시도될 수 있으나, 예후는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저자들은 다수의 간 전이를 동반한 악성 인슐린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보이다. 82세 남자환자가 반복적인 어지러움 및 저혈당 증상과 함께 발견된 복부 종괴를 주소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환자는 과거력상 4년 전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alphaglucosidase inhibitor를 복용 중이었으며,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치료 중이었다. 내원3주 전 의식저하가 있어 타병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검사상 혈당 22 mg/dL이 확인되어 경구혈당강하제 중단하였으나, 10일 전에도 저혈당 증상 있어 시행한 검사상 혈당 39 mg/dL로 타병원에서 저혈당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혈장혈당이 39 mg/dL였을 당시 insulin 122.01 uU/mL, C-peptide 16.84 ng/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인슐린항체는 6.45%로 음성이었으며, 당화혈색소는 6.4%, IGF-1187.2 ng/mL, cortisol 10.81 mcg/dL, ACTH 27.94 pg/mL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췌장 미부에 2 cm 크기의 종괴가 발견되었으며, 간에 동맥기에 조영증강 되는 다수의 결절이 발견되었다. 간의 결절에 대해서 초음파 유도하 조직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 결과 NSE (neuron specific enolase), synaptophysin, chromogranin, CD56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이 양성으로, 혈관침습이 의심되는 신경내분비종양으로 확인되었으며, 임상 경과를 고려할 때 췌장에서 기원한 cT2NxM1의 악성 인슐린종으로 진단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