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문화다양성 실천과 주체성 형성 경기지역의 문화소모임 활동사례를 중심으로
Subjectivity Enhancement Strategy of Migrants for the Cultural Diversity in South Korea Focusing on cultural activities of immigrants in Gyeonggi area
이정은 ( Lee Jeong-eun )
기억과 전망 36권 152-190(39pages)
DOI 10.31008/MV.36.4
UCI I410-ECN-0102-2018-300-00058440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가능성을 이주민의 주체성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정치적인 다원주의를 확립하는 것이고 개별 이주민이 사회구성원으로서 능동적으로 활동하며 인정받는 것이다(Taylor 1994). 이런 점에서 이주민들 스스로가 자치역량(empowerment)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는 소규모 문화활동 모임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이주민의 인구 비중이 가장 높으며 도농(都農)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기도로 한정하였다. 경기지역의 14개 문화활동모임의 이주민 16명에 대한 면접조사 결과, 이주민들은 한국 다문화정책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문화활동을 통해 그들 스스로가 자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가고 있다. 이 논문은 이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문화다양성 확산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mall-scale cultural activities of migrants, assuming that immigrants are recognized as being a member of Korean society and living in a subjective manner as a basic condition for for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 survey area was limited to Gyeonggi province, where various foreigners are distributed. The Gyeonggi area has the second highest proportion of immigrants after Seoul, and unlike Seoul, the distribution of migrant foreigners has both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rural areas. Through the vivid voice of immigrants, I examined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and their strategies for improving their identity. Through this, I sought to improve the autonomous capacity of migrants and expand the cultural diversity of Korean society.

1. 문제제기
2. `다문화`와 `문화다양성`의 차이
3. 이주민 문화활동 조사방법
4. 이주민 지역모임의 문화활동
5. 민간의 문화교류와 이주민의 주체성 강화
6. 맺으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