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분위기와 현대공간 : SANAA건축과 Pipilotti Rist의 작업을 중심으로
Mood and Contemporary Space : On the Work of SANAA and Pipilotti Rist
백승한 ( Seung-han Paek )
미학예술학연구 51권 305-334(30pages)
DOI 10.17527/JASA.51.0.10
UCI I410-ECN-0102-2018-600-000584100

본 논문은 현대건축과 현대미술의 접점으로서의 분위기(mood/atmosphere)를 탐구한다. 사례연구로서 본고는 일본의 건축그룹 SANAA와 스위스 미술가 피필로티 리스트(Pipilotti Rist)의 작업을 비교분석한다. 두 작가/그룹은 모두 직·간접적으로 분위기라는 주제를 자신들의 작업으로 끌어들인다. SANAA의 작업에서 분위기(atmosphere)란 일종의 프로그래밍이며, 표상으로서의 근대건축으로부터 한걸음 더 나아가서 건축의 경험적 측면을 두드러지게 하는 전략적 도구이다. 한편 리스트에게 분위기란 일련의 마주침과 무심함 사이에서 예측하지 못한 방식으로 생성하며, 공간경험의 친밀감과 감각적 차원을 열어주는 지평이다. SANAA의 작업에서 분위기란 디자인 수법의 부분으로 기능하는 한편, 리스트에게 분위기란 차이의 한 가운데에서 생성하는 일종의 정동적(affective) 순간이며, 전시공간의 참여주체들끼리의 깊은 유대감을 촉발하기보다는 단순히 접촉하고 스쳐 지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 작품의 비교분석은 디자인이 의도하는 바와 그러한 의도 너머에 있는 예측 불가능성이라는, 분위기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속성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이다.

This article explores issues of mood and atmosphere in contemporary art and architecture through the following two cases: 1) “The 21st-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2004) designed by a Japanese architectural firm known as SANAA; and 2) an installation project called “Pour Your Body Out”(2009) made by Swiss artist Pipilotti Rist. Both are cases in which the mood, or an atmospheric dimension of everyday space in the contemporary world is activated.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each case brings forth mood and atmosphere in different ways. SANAA considers atmosphere (instead of using the term `mood`) to be something that can loosely controlled and programmed, also a means to overcome the self-disciplined nature of modern architecture that does not fully respond to the fabrics of everyday life. Meanwhile, Rist`s installation shows how mood arises in improvisational and aleatory ways. In other words, while atmosphere in the 21st-century Museum tends to be reduced as a design element, in Rist`s work it becomes an affective driver that sets out a field in which various participants are passing through each other and entangled together without forming coherent senses of community.

Ⅰ. 현대건축과 현대미술, 그리고 분위기
Ⅱ. 분위기의 이론적 접근
Ⅲ. SANAA건축과 분위기
Ⅳ. Pipilotti Rist의 설치미술과 분위기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