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Ge)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Germanium Distribution in Soil of Jirisan Gurye Area
김경수 ( Gyeong-soo Kim ) , 배주순 ( Ju-soon Bae ) , 송승리 ( Seung-ri Song ) , 윤설희 ( Seol-hee Yun ) , 박귀환 ( Gui-hwan Park ) , 하훈 ( Hoon Ha ) , 양수인 ( Soo-in Yang )
UCI I410-ECN-0102-2018-500-000329262

본 연구는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 중 게르마늄 분포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지리산 구례지역 지하수에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에 의해 구례지역 토양과 농산물의 게르마늄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토양 중에 중금속이 일정량 존재하므로 게르마늄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토양오염실태조사지침에 근거하여 지목별 항목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구례지역 토양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지리산 구례지역 토양에서 게르마늄 함량은 1.032 ∼ 1.979 ㎎/kg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게르마늄 성분은 0.943 ∼ 19.518 ㎍/kg으로 분석되었으며, 쑥부쟁이 나물과 쌀에서 과일류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토양오염실태조사 지침의 지목별 항목 분석결과 Cd, Cr6+, Hg, CN,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pH의 평균이 5.9, Cu, Pb, Zn, Ni, As는 각각의 평균이 19.3, 14.3, 66.1, 19.7, 5.44 ㎎/kg 이었다. 결과적으로 Ni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전국 평균농도 이하로 나타나 지리산 토양은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토양으로 평가된다. 토양 중 게르마늄과 유해중금속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e distribution in Jirisan Gurye area. Content of Ge in the soil and crops was analyzed since several previous reports said that Ge was contained in the ground water from the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s and Ge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Ge, simultaneously. The analysis was based on Soil Contamin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Guideline. The content of Ge in Jirisan Gurye soil was 1.032∼1.979 mg/kg. The Ge content in crops was verified to 0.943∼19.518 ㎍/kg. It was shown that higher concentration was obtained in aster and rice than in frui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il samples, Hg, Cd, Cr6+, CN, organic phosphorus were not detected and each average concentration of Cu, Pb, Zn, Ni, and As was 19.3, 14.3, 66.1, 19.7, 7.45 mg/kg. The results showed that heavy metal contents are much less than the national average concentration except Ni showing the soil of Jirisan is not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It is shown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Ge and harmful heavy metal.

Ⅰ. 서 론
II. 이론연구
III. 재료 및 방법
IV. 결과 및 고찰
Ⅴ.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