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와 자원화 및 재활용 증대를 위한 생활폐기물 전처리 시설을 대상으로 전처리 공정별 선별효율을 평가하였다. 자력선별기에 의한 철·금속류 선별공정의 경우는 철류가 70.39%로 비교적 우수한 선별효율을 보였으며, 철 혼합제품도 15.53% 포함되어 있었다. 와류선별기에 의한 비철금속류 선별공정에 있어서는 가연성 물질인 알룸박이 비닐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와류선별기1 40.51%, 와류선별기2 16.53%), 광학선별기의 경우에는 비닐·플라스틱류가 34.62%(PVC 3.1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처리 공정에 의한 생활폐기물의 선별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철 혼합제품 등의 철저한 분리배출, 알룸박이 비닐의 선별에 대한 기술적 개선과 대책마련, 도시형 생활폐기물의 배출 특성을 고려한 광학선별공정의 상세한 성능평가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pre-treatment process for sorting municipal solid wastes(MSWs). The process by magnetic sorter showed reasonably good efficiency for sorting iron and metal materials, including 70.39% iron materials and 15.53% iron-mixed wastes. For sorting nonferrous metals by eddy current sorters, there was a respectable amount of aluminium-coated vinyls as combustible material(Sorter-1 40.51%, Sorter-2 16.53%). 34.62% vinyl·plastic materials(3.17% PVC) were sorted by optical sorter. Thus, it was reported that thorough separation for sending out the recyclable wastes, technical improvement for sorting aluminium-coated vinyls, and assessment of optical process for MSWs in urban area should be necessary for reasonable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