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단공양수시험에 의한 지하수 대수성 평가
Estimation of Ground Aquifer Characteristics by Single Well Tests
정재성 ( Jung Jae-sung ) , 김기성 ( Kim Ki-sung ) , 박영기 ( Park Young-ki )
UCI I410-ECN-0102-2018-500-000118123

물을 함유한 지층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지하수 연구의 필수사항이고 대수성 시험 및 분석은 이들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중인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지역13개 관정의 양수시험 자료에서 지하수 대수충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여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를 추정하였다. 이들 양수시험이 단공식이었기 때문에 관측거리를 스킨계수에 의해 보정된 유효우물 반경으로 적용하여 저류계수 추정치를 개선하였다. 투수량계수는 0.994~18.468m2/day로 기존 추정치 0.911~19.904m2/day과 유사하게 추정되었고, 저류계수는 0.00021~0.00064로 기존 추정치 0.000007~0.088800 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Jacob법은 투수량계수 결정과정에 관측거리를 이용하지 않은 점에서 단공양수시험 결과의 해석에는 Theis법 보다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Estim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ter-bearing layers is an essential part of Groundwater studies and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of determining these properties is to conduct and analyze aquifer tes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roundwater aquifer are studied with the pumping test data at 13 wells in Yo-Su area and the transmissivity and storativity of each aquifer were estimated by the use of Jacob`s straight line method, an analysis method of aquifer unsteady flow. Since the tests are single well tests, the observation distance was modified from well radius to effective well radius by the use of skin factor method to improve the storativity estimates. Estimated transmissivities ranged 0.994~18.468m2/day were similar to the existing report value 0.911~19.904 m2/day and the storativities ranged 0.00021~0.00064 were more improved results than the existing value 0.000007~0.088800. And the confidence of Jacob method which do not use observation distance to estimate transmissivity, was batter than that of Theis method to analysis the data from single well pumping test.

Ⅰ. 서 론
Ⅱ. 지하수 대수성시험 및 해석
Ⅲ. 양수시험 및 결과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