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50.143
18.216.250.143
close menu
KCI 우수
영국의 제국 프로파간다와 전쟁미술, 1939-1945
British Imperial Propaganda and War Art, 1939-1945
조호희 ( Cho Ho-hee )
서양사론 133권 193-222(30pages)
UCI I410-ECN-0102-2018-900-000592305

이 논문은 영국 전쟁예술가자문위원회의 활동과 전시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특히 제국 프로파간다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총력전체제 속에서 영국은 전쟁동원과 제국통합을 도모함과 동시에 역설적으로 자유와 민주, 평등과 다양성의 담지자로 나섰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영국은 전쟁미술 수집과 전시를 통한 프로파간다를 기획했다. 영국은 전쟁미술 전시를 통해 단순한 전쟁동원을 넘어 전후 제국적 질서까지 염두에 두고 프로파간다를 펼쳤다. 이 논문은 이상적 제국구상과 전쟁이라는 현실 속에서 영국이 추구했던 `자유의 수호자`와 `제국`의 정체성이 충돌하는 지점을 밝히고 영연방으로의 안정적인 전환을 위한 작업을 분석한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activities and exhibitions of the War Artists` Advisory Committee (WAAC)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considering it as an imperial propaganda. During WWII, Britain sought war mobilization and imperial consolidation while claiming itself as the protector of `freedom`, `democracy`, and `diversity`. WAAC`s collection and exhibitions of war art delivered such propaganda messages and illustrated Britain`s wartime imperial aspirations. War art suite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policy of `indirect` and `elite` propaganda. The Ministry of Information invested £96,000 to collect approximately 6,000 pieces of art from hundreds of artists. The war art produced by both British and colonial artists were shown in exhibitions to serve as bonds bringing together the members of the British imperial network. The identity of Britain was portrayed as `Britain`, `the British Commonwealth`, or `the British Empire` depending on the audience and location. The collection and exhibitions served as effective propaganda, gaining an overall favorable response. As a result, it came to be called a `wartime renaissance` contributing in shaping the wartime discourse of imperial consolidation.

Ⅰ. 서론
Ⅱ. 전쟁예술가자문위원회(WAAC)와 전쟁미술
Ⅲ. 전쟁동원 프로파간다: 전쟁미술 해외 순회전시
Ⅳ. 제국통합 프로파간다: 식민지 전쟁미술 수집과 전시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