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언어·문화·문학의통합 교육 방안 연구-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Korean Language·Culture·Literature Integration - Focused on Kim, soweol <진달래꽃> -
김미선 ( Kim Mi Sun )
국제어문 71권 265-295(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34381

이 연구는 한국어 문화교육에서의 문학 교육의 연구 현황과 기존의 학자들의논의를 바탕으로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을 활용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5급을대상으로 언어·문화·문학의 통합적 교육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 텍스트가 단순히 언어교육을 위한 도구가 아니며 언어와 문화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므로 언어·문화·문학 학습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인식에서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을 따라 실제로 시 수업을 통해 언어학습 측면에서는 문학 텍스트에서 볼 수 있는 표현과 문학 언어를 바탕으로 고급스러운언어를 학습하였다. 또한 문화학습 측면에서는 시적 화자의 태도에서 과거 전통적인 여성의 사랑과 이별에 대한 자세를 통해 한국인의 가치관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시인 김소월과 당시 시대적 배경을 통한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모국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더 깊은 이해의 기회를 가졌다. 문학학습 측면에서는 시의 기본적인 형식, 리듬을 만드는 요소, 의미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비유와 상징을 학습해 고급스런 언어로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촉진함으로써 진정한 통합 교육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ablish combined methodology of language, culture and literary for the level 5 foreign Korean learner using poem of Soweol, Kim. This study is based on current research posi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discussion of the existing learners. It is foun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combined education is needed for the effect maximization of the language, culture and literary education since literary text is not only a tool for just language education but also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s a result of actual poem class following the suggested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in the aspect of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significant effect for learning high level vocabulary on the basis of the expression and literary vocabulary from literary text. In the aspect of culture education, the learners can know the value of Korean through the attitude toward love and parting of the past traditional woman in the attitude of a poetic narrator and deeply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homeland 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via poet "Soweol, Kim"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aspect of literary education, a true combined education possibility is found by promoting the ability creating high level vocabulary through the education of metaphors and symbols for expressing basic formality, element making rhythm, meaning and subject of poem.

1. 정전(화) 연구의 사각 지대
2. 조선시대 서사문학의 존재와 그 현실적 이면
3. 한어(漢語) 학습의 요구와 서사 문학의 요청
4. 서사 문학의 조선적 수용과 전근대 시기 정전화의 특이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