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영상 기반 스마트폰 영상의 기하보정
Rectification of Smartphone Image Based on Reference Images for Facility Monitoring
김휘영 ( Hwiyoung Kim ) , 최경아 ( Kyoungah Choi ) , 이임평 ( Impyeong Lee ) , 윤혁진 ( Hyuk-jin Yoon )
UCI I410-ECN-0102-2018-400-000366260

시설물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 모니터링은 중요하다. 특히, 도로, 댐, 교량 등의 시설물은 안전과 비용의 문제로 자주 점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니터링을 고려할 수 있다.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해 스마트폰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먼저 절대좌표계를 기준으로 보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의의 위치에서 취득된 스마트폰 영상을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보정하여 시설물 모니터링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준영상을 활용하여 지오레퍼런싱을 수행하여 스마트폰의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한다.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영상을 시설물의 대상 객체면에 투영하여 보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보에서 취득한 시험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스마트폰의 외부표정요소는 위치 5 cm, 자세 0.28° 정확도로 결정되었다. 보정된 스마트폰 영상에서 측정한 길이는 10 cm의 오차를 보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영상을 시설물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nitoring of facilities such as roads, dams and bridges is important for their long-term sustainable usage. It has usually suffered with safety and cost problems, which makes more frequent monitoring difficult. As an efficient and economical solution to these problems, one may consider the use of smartphone to capture the status of the facilities. To deriv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with the smartphone images for facility monitoring, one should first rectify the images in a way as automatic and economical as possible. In this study, we propose such a rectification method, which rectifies smartphone images acquired from arbitrary locations based on reference images. In the proposed method, we determine the camera extrinsic parameters of each smartphone images using the reference images rather than ground control points, and project the image to the target surface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determined camera parameters. The method were applied to test data acquired from a small dam toward water-area facility monito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camera extrins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with the accuracy of 5 cm and 0.28° in the position and attitude. The accuracy of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rectified image was evaluated to 10 cm. With the rectified images, one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length of the target objects required for facility monitoring.

1. 서 론
2. 영상 기하보정 방법론
3. 데이터 구축
4. 실험결과
5. 결 론
사 사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