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이만오천송반야』에서 성자의 단계 직전에 위치하는 종성지가 최초기 유가행파 문헌에서 수행의 첫 출발점으로 간주된 이유와 배경을 살펴보고, 그 이후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이만오천송반야』에서 종성지는 성자의 단계 직전이라는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때 종성 개념 또한 `성자의 가계`(aryagotra)라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것은 예비적 수행의 결과 도달하는 성인의 단계를 의미하였다. 하지만 「성문지」와 「보살지」에서 `종성지`는 예비적 수행의 결과가 아니라 수행의 첫 출발점 내지는 전제조건으로 하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가사지론』 이후 아비달마적 성격의 유가행파 문헌에서는 `종성지` 개념은 물론 `종성` 개념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지위 변화의 근본적 이유는 종성 개념을 종자 개념과 동일시하거나 나아가 종자 개념으로 종성 개념을 대체한 것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변화한 종성 개념은 원래의 `성자의 가계`라는 개념 대신 수행자의 `정신적 신체적 성향과 능력`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종성 개념의 정의에 적용되는 종자 개념 또한 원래의 의미에서 제약을 받게 된다. 업과 번뇌의 종자라는 부정적 측면에서 출세간법의 종자 혹은 열반법의 종자라는 긍정적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상과 같은 종성과 종자 개념의 만남과 상호 변용의 장이 다름 아닌 「성문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and why the stage of gotrabhumi, which comes just before the stage of sagehood in the Pancavimsatisahasrika Prajnaparamita, is considered as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practice in the earliest Yogacara literature, and also to take a brief look at its development in the literature that came after the Yogacarabhumi. Firstly, gotrabhumi as it appears in the PvP is a fairly high stage of enlightenment, coming just before the stage of sagehood. In that stage, gotra means ariyagotra and is a result of preparatory practice. In the Sravakabhumi and the Bodhisattvabhumi, gotrabhumi is not a result of preparatory practice, but is rather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practice. Furthermore, in the abhidharmic Yogacara literature that came after the Yogacarabhumi , the terms gotrabhumi and gotra hardly appear at all. The reason for this significant devaluation is that the concept of gotra is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bija or even replaced by it. In addition, the original meaning of gotra is also significantly changed.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term bija as “psycho-physical disposition and ability” is added to the original meaning of “lineage of the sage” of gotra. Furthermore, the aspect of psycho-physical dispositon and ability seems to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aspect of lineage of the sage.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bija is restricted by the concept of gotra when it is used in the definition of gotra, which means only “the supramundane bija or bija of nirvana,” in contrast to the bija of karma and klesa. The Sravakabhumi is a literature for mutual transformation of the two concepts gotra and bija, which developed from different tra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