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은 우리 고전소설 가운데 가장 깊이 있는 주제를 끌어낼 수 있는 작품의 하나이다. 극도의 가난과 고통으로부터 육친애와 이를 근거로 한 자기 희생과 구원에 이르기까지 그 편폭은 넓고도 깊다. 1925년 발표한 <효녀 심청전>은 심청의 희생에 초점을 맞추었다. 식민지 현실의 궁핍상을 그대로 드러내며 우리 민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을 심청이 희생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치환한 것이다. 1937년 상영된 안석영 감독의 <심청>은 유난히 `선량한 인간들`의 고난을 강조했고, 심청이 인당수에 빠져 살아나지 못하는 절망감을 영상화 했다. 이는 1937년 중일전쟁을 계기로 파시즘의 진군과 살육 앞에서 심청에게 가해지는 세계의 횡포와 절망을 그리려고 했다. <심청>은 파시즘으로 치닫는 일제 식민지 상황에 대한 알레고리인 셈이다. 1962년 개봉한 이형표 감독의 <대심청전>은 몽은사 화주승과 남경 뱃사람들을 통해 세계의 폭력성을 문제 삼고 여기에 맞서는 꿋꿋한 심청의 모습을 그렸다. 이는 1961년 5.16 군사쿠데타에 대한 영화적 해석으로 보이며, 심청을 통해 60년대 사극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강인한 여인상을 드러낸 것이다. 1972년 뮌헨 올림픽 초청작으로 상영된 신상옥 감독의 <효녀 심청>은 심청이 심봉사 뿐만 아니라 모든 봉사, 심지어는 불구자와 가뭄으로 인해 피폐해진 온 나라를 구원한다는 데서 심청의 희생을 통한 구원을 문제 삼았다. 마침 같이 공연됐던 윤이상의 오페라 <심청>에서도 “<심청전> 속에 숨어있는 자기희생을 통해 타인을 구제하는 정신”을 드러내고자 했다고 밝힌 바 있다. 4편의 <심청전> 영화는 각기 고소설 <심청전> 이야기 속에 들어있는 희생(1925), 고난과 절망(1937), 폭력성(1962), 구원(1972)을 주제로 삼아 영화화 한 셈이다.
Simcheong-Jeon is a classic novel that propagates a very profound theme. The movie Hyonyeo Simcheong-Jeon in 1925 centralizes on the theme of sacrifice of Shimchung. The story reveals the realities of poverty commonly se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the movie is to dramatize her life of sacrifice, in which the Japanese colonialists force her to bear heavy sufferings along with the other Korean people. Aired in 1937, the movie Simcheong directed by An-seok-young, specifically emphasizes on the sufferings of the “innocent people” by dramatizing the despair of Shimchung who fails to come back to life from the sea of Indang-su. The movie aims to express the world-wide propagation of Fascism, at that time, ignited by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consequent despair imposed upon the weak. Another movie, Dae Simcheong-Jeon, directed by Lee Hyung-Pyo was shown in 1962. It focuses on the violence between the monk of Mong-un Temple and the Nanjing fishermen and depicts Simcheong`s attempts to take a firm stand against their violence. Through the visual interpretation, Simcheong appears to be a rather strong female character whose image was frequently found in the 1960s` historical dramas. Shown as an invitation movie in the 1972 Munich Olympics, Director Shin Sang-Ok`s Hyonyeo Simcheong centralizes on her sacrifice and the ultimate salvation of the disabled, including herself, her blind father, and all the disabled people and the drought-devastated nation. In addition, the timely performance of Yoon Yi-Sang`s Opera Simcheong clarifies that the theme of the opera was about "the sacrificial spirit leading to the salvation of others as shown in Simcheong-Jeon". All the four movies attempted to represent various themes, namely sacrifice (1925), suffering and despair (1937), violence (1962), and salvation (1972), all of which are found in the classic novel Simcheong-J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