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초기불교에서 까야(kaya)의 은유적 의미
The Metaphorical Meaning of kaya in the Early Buddhism
김성부 ( Kim Sung-boo )
동아시아불교문화 29권 221-243(23pages)
DOI 10.21718/EABC.2017.29.08
UCI I410-ECN-0102-2018-200-000394320

이 글의 목적은 초기불교에서 `까야`(kaya)가 신체나 모임을 의미하며, 이중에서 신체로서의 까야에 대한 용례가 각각 다른 외연을 갖는다는 것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외연의 차이는 곰브리치(R. F. Gombrich)의 `은유`(metaphor)의 관점에서 해명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까야에 대한 분석은 초기불교를 보다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시모토 테츠오(Hashimoto Tetsuo, 橋本哲夫)는 그의 연구에서 까야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그에 따르면 초기불교 게송(gatha)에서 까야는 1)사람 2)사람들 3)물질적 신체 4)피로와 고통을 느끼는 생리적 신체 5)쉽게 파괴되고ㆍ합성되는 물질적 육체 6)육체 7)몸통과 사지 8)감각기관으로서의 신체 등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까야가 다른 개념과 합성된 복합어의 용례에서 까야는 신체나 모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하시모토의 연구에는 보완되어야 할 2가지가 있다고 보인다. 첫째, 까야의 연구가 게송에 국한된다는 점이다. 둘째, 하시모토는 까야에 관한 상이한 의미의 차이를 설명하지 않고 까야의 다양한 의미를 신체라는 범주로 구획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는 본문에서 이 2가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필자는 니까야와 주석서의 산문에서 까야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까야는 하시모토가 분류한 신체와 모임이라는 의미로 구획되었다. 하시모토와 필자의 연구를 정리하면, 모임으로서의 까야의 의미는 까야가 다른 개념과 합성될 때에만 나타난다. 모임으로서의 까야 용례에서 각각의 외연은 동일하다. 그리고 신체로서의 까야의 용례를 분석해 보았다. 하지만 모임이라는 까야의 용례와는 달리 신체라는 용례의 외연은 차이가 난다. 필자는 이러한 외연의 차이를 곰브리치의 은유에 대한 관점에서 해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곰브리치는 어떤 개념의 의미를 경전의 맥락(context)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초기불교에서 범천(梵天, brahman)은 기존의 브라만교(brahmanism, 婆羅門敎)의 범천의 의미와는 다르다. 또한 초기불교에서도 범천은 경전의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다르게 함축한다. 여기서 경전의 맥락은 `은유`ㆍ`우화적 비유`(allegory)ㆍ`풍자`(satire)로 결정된다. 곰브리치의 은유에 관한 입장에서 까야의 용례에서 나타나는 외연의 차이는 각각의 경전의 맥락에서 까야가 다르게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입장에서 신체로서의 까야에 대한 용례의 외연을 나름대로 분석해 보았다. 예를 들면 까야는 물질적 신체인 「육체」로 은유된다. 여기서 까야는 `물질적인 것`, `단일한 객체`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그리고 까야는 「사람」이다. 여기서 까야는 `물질적인 것`, `정신적인 것`, `단일한 객체`, `인식과 행동의 주체` 등의 `독립적인 개인`의로서의 의미를 함축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신체로서의 까야는 각각의 경전에서 다른 외연을 갖으며, 그 의미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까야는 경전에서 「육체」, 「사람」 등으로 은유되어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보인다. 이러한 분석은 경전에서 나타나는 까야의 외연의 차이를 해명해 준다. 이러한 분석은 경전에서 실질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개념들의 용례를 설명해 준다는 점에서 경전을 보다 더 잘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탐구 방식은 초기불교를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s of kaya which are body (身) and group in the Early Buddhism and that the cases of kaya as body(身) have each different types of extension. It means that this analysis of kaya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of the Nikaya. Hashimoto has explored the meaning of kaya in his research through the context of Buddhist Sutras. According to him, it has various connotations about the meaning of kaya in gatha of the Early Buddhism; person, people, material body, physiological body, easily composed and destroyed material body, body, torso and limb, and sensory organs of body etc. Moreover, it has the connotative meanings called as body(身) and group in cases of compounding of different conception. The meaning of kaya as group only appears out of compounding of different conception. Although it is identical with each of extensions in above cases, ones for kaya as body(身) have different extensions each. I think it is because the differences of extension have been understoo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Sutras each. Likewise, Gombrich maintains that the meaning of some concepts must be clearly understood of the context of Sutras, who is generally known to researcher of such study. According to him, brahman in the Early Buddhism is different with the meaning of brahmanism. This is because it has different connotative meanings in the context of Sutras and they are decided by as metaphor, allegory, and satire meanings. I will show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it is analyzed the extension about the cases of kaya as body(身). For instance, kaya is regarded as `kaya is physical constituent`, `a single subject`. It also means the `person` where it seems to have the meanings of connotation as follows; `physical constituent`, `mental constituent`, `a single subject`, `subject of cognition and action`. As a result, kaya as body(身) have different extensions in Sutras each, which seems to have a different meanings. It means that this analysis is to better understand meanings of kaya, with revealing each other`s differences. The view of this paper will be one of methods that opens up a more appropriate inquiry to understand the Early Buddh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