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문학치료학이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우리가 `서사`에 집중을 할 때 비로소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을 논하였다.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그 작품의 `작품서사`에 주목하며,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자기서사`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자기서사`의 개념이야 말로 문학치료학의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독특한 특징이라고 하였다. 우선 2절에서는 그동안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의 개념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았고, 3절에서는 지금까지 문학치료연구 에 제출된 여러 편의 논문들 중에서도 특히 `자기서사`의 개념을 다르게 이해한 논문들을 살펴보면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개념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자기서사는 우리의 실제 경험과 관련을 맺기는 하지만, 경험 그 자체는 아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우리 안의 문학이다. 따라서 실제의 경험을 그대로 진술한다고 하여 자기서사가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가 꾸며낸 이야기, 만들어낸 이야기가 자기서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사람의 인생은 문학 작품처럼 완결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고정불변의 것도 아니기에 사람이 갖고 있는 서사, 즉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자기서사가 더욱 건강하게 변하면 우리의 실제 삶 또한 더욱 건강해 질 수 있다고 본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인생을 살아나가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서사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또한 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내가 갖고 있는 어떠한 삶의 태도나 방식이 특히 특정한 인간관계 속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다면, 나의 삶의 태도나 방식을 바꾸면 반대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도 얻게 되는 것이다. 셋째, 자기서사는 가치관 또는 사상과는 다르다. 하나의 공통된 가치관 내지 사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그 사람들의 자기서사가 같다고 할 수 없다. 서사가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 회복`에 관한 것이라고 할 때, 자기서사 역시도 인간관계와의 관련 속에서 구성될 수 있다. 우리는 자기서사를 통해 한 사람이 특정 인간관계에서 나타내는 경향성과 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특정 인간관계 속에서 보이는 경향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In literary therapeutics, human is literature, human is epic. So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same manner,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human,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self. In chapter two,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pic of self`, and in chapter three, I examine some written papers in Journal of Literary Therapy which were using the term of `the epic of self` in different point of view. As a result, I conclud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view. First, the epic of self is related to our own personal experience, but it isn`t experience it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epic of self is literature inside us, something operates and organizes our life, so the epic of self embodies our life. Therefore, speaking of our life isn`t necessary to be the epic of self, preferably the stories we make up is much closer to be the epic of self. A written confession or a narrative of one`s personal experiences are not the epic of self. Second,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Our life isn`t fixed or completed, therefore, the epic of self also isn`t fixed or completed. In literary therapeutics, if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healthily, our life also can be changed healthily. Because the epic of self affects on the way we live, the epic of self makes problems in our life, but likewise it has the abi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Third, the epic of self isn`t a sense of values or an ideology. Suppo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it doesn`t mean they have the same epic of self. Each one of the group has their own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very important factor of epic is human relations. `Epic` is defined as `the story of a formation, a crisis, and a recovery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 is the core of epic. So, we focus on our `epic` when we have a problem in our life. The reason we have problem in our life is because of our epic. When the epic of self has a problem, it will affect our life too, expecially human rel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pic of self can help us to understand our life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