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경기침체기의 `지역사회 역량강화`는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영국 연립정부의 도시정책을 중심으로
In an era of economic austerity, `community empowerment`, for whom? Perspectives on the Coalition`s urban policy in the UK.
경신원 ( Kyung Shinwon )
공간과 사회 59권 278-306(29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40264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영국 연립정부(2010∼2015)는 2008년 세계경제위기로 인한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역량강화, 권력이양, 자원봉사 그리고 사회 참여활동 등을 강조한 Big Society를 정책적 이념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연립정부가 내세운 Big Society의 정책적 효과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에 이 논문은 Big Society 정책의 실행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역량강화가 빈곤지역의 사회, 경제적 문제에 대한 절대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립정부의 정책이념인 Big Society에서 강조하는 지역사회 역량강화 정책들이 빈곤지역의 지역정부, 시민자원봉사단체 그리고 지역주민에게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 연립정부의 도시정책은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해 좀 더 통합적이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한다는 Big Society의 기본 목표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해 빈곤지역의 주민들에게 더욱 많은 기회와 선택을 제공할 것이라는 연립정부의 당초 공약과는 달리 Big Society를 중심으로 한 도시정책들 은 빈곤지역의 근본적인 구조적인 문제와 주민들의 필요를 간과함으로써 그들의 상황은 노동당 정부 때보다 악화되었고 빈곤계층을 오히려 사회로부터 더욱 소외 시키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연립정부의 Big Society 정책의 실패는 빈곤지역의 주민들에게 사회, 경제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충분한 재원과 이러한 문제 들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못할 때 지역사회 역량강화 정책은 대안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The rhetoric of the Big Society agenda under the Coalition government in the UK(2010∼2015), which encouraged community empowerment, devolution, volunteerism and social action, gave the impression that people would have more choices and access to a much broader range of opportunities. However, the efficacy of the Coalition`s policy was highly controversial whilst they were in power. Accompanying these issue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community empowerment is always a panacea for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especially in deprived neighbourhoods. It examines how the concept of community empowerment was translated into reality under the Coalition, drawing upon existing secondary sources in the UK including government policy reports and research findings dating from the late 1990s onwards. This paper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Big Society idea under the Coalition, comparing it with the neighborhood renewal approaches under previous Labour governments. It then looks at the effect of the Coalition`s policies on local governments, local voluntary organisations and residents in deprived neighbourhood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Coalition`s policies were not successful in achieving the Big Society`s goals of creating an inclusive and fairer society through greater community empowerment. It neglected the needs of communities in deprived neighbourhoods and marginalised them from society. Under the Coalition, the activities of community groups and voluntary organisations for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deteriorated. The Big Society agenda clearly shows that community empowerment cannot be always an answer unless people in deprived neighbourhoods have enough resources or skills to make use of the increased control they are give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