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작품은 `정전`(正典)으로 통한다. `예전부터 정전화된 텍스트란` 말은 영문학 `정전`을 의미한다. 즉 영문학 정전이란 예술적 미와 도덕적 감각에서 볼 때 특별하고 진귀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작품과 작가를 의미하며 주로 백인 남성들이 쓴 작품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를 위대하며 그의 작품이 인류 보편적 정서를 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나치게 유럽적인 잣대에 의해서 평가되어진 것은 아닐까? 탈식민주의 작가들은 이러한 서양 중심적인 시각으로 정전을 보는 데 의문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식민주의 담론의 이론에 비추어 제국주의적 표상의 기초가 되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헤게모니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자 한다.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 작품에 내재한 식민성을 밝히고, 다른 한편으로 식민주의의 권력 구조와 제도를 폭로하고 해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오셀로>,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태풍>을 에드워드 사이드와 프란츠 파농의 서양인에 의해 구축된 동양인과 서양인을 나누는 이분법적인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 호미 바바의 `양가성`에 의해서 해체시키고자 한다. <오셀로>와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는 작품 전반에 동양인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적인 부정적인 시각이 드러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인류 보편적인 가치인 `고귀한 사랑`이 동양인을 정형화시키는 이분법적인 시각을 무력화 시킨다. 오셀로와 클레오파트라가 사랑을 잃은 대가로 명예로운 죽음을 선택함으로써 관객과 독자에게 더 이상 동양인과 서양인을 나누는 이분법적인 시각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작가가 의도했던 의도하던 하지 않았던 이 작품에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 무시하고 있는 피식민주체에 대한 동정적 재현이 보인다. 문학텍스트는 단지 한 가지 의견보다는 여러 가지의 의견을 제시하는 동정이고 종종 모순적인 것이다. 더 나아가 `오리엔탈리즘적` 사고나 `반오리엔탈리즘적` 사고라는 맞물결이 한 텍스트 안에서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태풍>은 서양이 동양을 지배하기 위해 단편적인 논리를 합리화하여 정당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프로스페로는 서양을 상징하고 칼리반은 동양을 대표한다. 그러나 다른 작품과 달리 <태풍>은 `사랑`이 아닌 `화해`라는 가치를 향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사랑은 주된 플롯이 아니라 부차적인 플롯이 된다. 즉 미란다와 페르디난드의 사랑은 프로스페로와 알론소, 안토니오와의 화해를 위한 장치에 머문다. 따라서 칼리반이라는 인물은 이 작품의 중심에 흐르고 있는 `화해`라는 가치로 인해 주인물들과 주플롯으로부터 소외된다. 칼리반은 결코 화해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태풍>은 동양과 서양을 가르는 이분법적인 사고를 뛰어 넘지 못한 채 작품이 끝이 난다. 그러하기에 이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그 어느 작품보다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작품이며 대항담론적 문제제기를 위해 가장 자주 선택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물론 `정전`인 셰익스피어 작품을 식민지인들이 피식민지인들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했다고 보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정전`을 폄하하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반면에 탈식민주의적 비평은 새로운 의미를 가능케 해주는 셰익스피어 작품을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우리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탈식민주의적인 시각에서 `오리엔탈리즘`과 `양가성`의 시각에서 다시 읽어봄으로써 독해를 풍부하게 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탈식민적 관점에서 글을 읽는 것이 오히려 강대국의 우월성을 부추기며 그 대항의 목소리를 무력하게 만들 수 있는 오점이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동안 문제의식 없이 지켜보던 셰익스피어 연극에 대한 비판력과 어떠한 방식으로 제국주의를 조장했는지 탐구하는 것이라면 문제의식을 갖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겠다.
Shakespeare`s works are referred to as `canons`. The phrase `canons` refer to English literature `canons`. In other words, English literary canons reference works and writers considered to have special and rare value in terms of artistic beauty and moral sense, and this term is mainly reserved for works written by white men. Yet we consider, Shakespeare to be great and his works as touching on universal emotions felt by all human beings. However, was this judged by a heavily European standard? Postcolonial writers raise the question of how canons are often seen in this western-centered view. This study aims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hegemony of Shakespeare`s works which is the basis of imperialist representa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colonialist discourse. This study reveals the inherent colonization of Shakespeare `s works and it aims to expose and deconstruct the power structures and institutions of colonialism. Thu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 Othello >, < Antony and Cleopatra > and < The Tempest > from the viewpoint of the dichotomous `Orientalism` that divides Asians and Westerners, the theory built by Edward Said and Frantz Fanon, and will deconstruct it using the ambivalence of Homi Baba. < Othello > and < Antony and Cleopatra > reveal orientalistic negative views of Asians throughout the works. Nonetheless, the two works make a dichotomous view meaningless because of `noble love`, the universal value of mankind. There is no dichotomy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reader to divide Asians and Westerners because Othello and Cleopatra choose honorable deaths for the loss of love. In view of humanity`s universal sensibility, the audience and readers will only observe Othello and Cleopatra with sad eyes. In this work, which the writer intended, he did not intend to do so, but there is a sympathetic reproduction of colonialism that Side`s `Orientalism` ignores. The < Tempest > is a work that clearly shows the intention to earn legitimacy by rationalizing fragmentary logic in order for the West to dominate Asia. Prospero represents the West, and Caliban represents the Orient. Unlike other works, < Tempest > is not a `love` but a `reconciliation` value. In this work, love becomes a secondary plot, not the main plot. The love of Miranda and Ferdinand stays on the device for reconciliation of Prospero, Alonso and Antonio. So Caliban is marginalized from the main characters and main plot, because the object of Miranda`s love is not Caliban and the value of `reconciliation` flowing at the center of this work. Caliban can never be the object of reconciliation. < Tempest > does not go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o this work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from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more than any other work of Shakespeare, and it is also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work for raising discursive problems. Of course, the use of Shakespeare`s works as a means of domination is controversial and it can make a mistake to disparage the `canons`. On the other hand, postcolonial criticism presents a new way of dealing with Shakespea`s works that allows new meanings. We can rethink Shakespeare`s works from a postcolonial point of view in terms of `Orientalism` and `ambivalence`, so that we can enrich our reading and have critical thinking. However, reading from a postcolonial point of view, rather, has a blemish that can exacerbate the superiority of the great powers and make the voices of the opposing forces helpless. However,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problems that the are raised in criticisms of Shakespeare`s theater and how it promoted 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