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몽골 반건조지에서 질소 시비가 Populus sibirica 묘목의 생리적 특성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 2년생 P. sibirica 묘목을 식재하고 처리구별로 묘목 당 요소 5 g (N1), 15 g (N2), 30 g (N3) 및 N2와 같은 질소량인 황산암모늄 33 g (NS) 등을 시비하였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6월과 7월에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엽록소 함량이 8월에는 처리구 간 차이를 보였으며 6월과 7월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잎의 노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6월과 7월의 순광합성률은 N2와 NS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6월의 증산 속도는 순광합성률의 경향과 달리 N2 처리구에서 NS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묘목의 근원경 상대생장률은 NS 처리구에서만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수고 상대생장률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 시비에 따른 엽면적 차이는 처리구 간에 유의성을 보였으나, 대조구와 각 질소 처리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지에서 P. sibirica 묘목의 초기 생육 증진을 위하여 요소보다 황산암모늄을 시비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요소와 황산암모늄 시비가 토양 및 묘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몽골에서 황산암모늄의 적정 시비량 산정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opulus sibirica seedlings in a semi-arid area, Mongolia. 2-year-old P. sibirica seedlings were planted in May, 2015 with applications of urea 5 g (N1), 15 g (N2), 30 g (N3) and ammonium sulfate 33 g (NS; same nitrogen amount with N2) to each seedling. Chlorophyl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August, but not in June and July. The lower chlorophyll contents in August than those in June and July might be related to leaf senescence. In June and July, net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NS and N2 than in the control. Unlike the tendency of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ate was highest in N2, but lower in NS than in any other nitrogen treatments. Relative growth rate of root collar diameter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NS than in the control and it of height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Leaf area in nitrogen treatm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trol. Ammonium sulfate seemed to be more suitable fertilizer than urea for the early growth of P. sibirica seedlings in the study site. However, as the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on soils and seedlings were different, further studies would be necessary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ammonium sulf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