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Unity3D 기반 홍수 시뮬레이션 가시화 웹시스템
Unity3D-Based Flood Simulation Visualization Web System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강수명 ( Su-myung Gang ) , 류동하 ( Dong-ha Ryu ) , 최영철 ( Yeong-cheol Choi ) , 정윤재 ( Yun-jae Choung )
DOI 10.11108/kagis.2017.20.1.098
UCI I410-ECN-0102-2018-500-000406360

최근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상용 GIS 엔진 대신 게임엔진을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차원 게임엔진은 개발자의 역량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인다. 특히 재난과 같은 분야에서는 지리정보데이터 및 재난 관련 정보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분석을 시도할 때, 예측뿐 아니라 예방에 관한 폭넓은 대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 특성상 3차원의 실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할 때에는 3차원 기반의 분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용적, 인력적 문제 해결 및 개발 자유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3차원 게임엔진을 통한 홍수재난정보 가시화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원시 홍수 데이터를 공간정보 상에 맵핑하고, 맵핑한 홍수 정보의 자연스러운 홍수 표출을 위해 보간 처리를 실행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각도 정보를 표출하기 위해 누적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위험지역을 보여주고자 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홍수 정보의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 및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a game engine instead of a commerc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gine for the development of 3D GIS. The advantage of the 3D game engine is that it allows developers to develop various module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disasters, a wide range of alternatives for prevention as well as prediction can be presented when new analyses are attempted by combin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disaster-related information. Furthermore, 3D analysi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analyzing the phenomena occurring in the real 3D world because of the nature of disast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visualization module for flood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a 3D game engine by considering the solutions for cost and manpower problems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development. Raw flood data was mapped onto spatial information and interpolation was performed for the natural display of the mapped flood information. Furthermore, we developed a module that intuitively shows dangerous areas to users by generating cumulative information in order to display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enable various flood information analyses as well as quick response and countermeasures to floo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