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지구물리탐사와 지질조사에 의한 양산단층대 남부구간의 기하학적 특성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outhern Yangsan Fault Zone by Means of Geophysical Prospecting and Geological Survey
이현재 ( Hyoun-jae Lee ) , 함세영 ( Se-yeong Hamm ) , 박삼규 ( Samgyu Park ) , 류충렬 ( Chung-ryul Ryoo )
지질공학 27권 1호 9-20(12pages)
UCI I410-ECN-0102-2018-500-000404119

현재까지 양산단층대 노출 구간의 전기비저항탐사를 통하여 단층대와 전기비저항 값을 부분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양산단층대과 같은 대규모 단층 내에서 단층면을 직접 관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층핵부의 풍화작용으로 인해 단층운동 특성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 남부 언양지역의 전기비저항탐사 및 미소지형 측량과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양산단층의 위치, 발달양상과 단층핵 구간과 이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단층 손상대의 지하 발달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하면 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저비저항 이 상대가 확인되었으며, 전기비저항탐사, 미지형 측량 및 야외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할 때, 양산단층대는 하나의 단층핵 또는 파쇄대가 아닌 최소 3~5매의 단층핵, 단층 손상대 또는 파쇄대가 복합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o date, sever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partially compare and analyze the resistivity values within the Yangsan fault zone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of the exposed fault zone. However, it is not easy to directly observe a large scaled fault like Yangsan fault that has been weathered, especially due to the weathering of the fault cor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geometry, the fault core zone as well as underground distribution of the associated fault damage zone, based on the results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micro-topographic surveys as well as field geology survey in the southern Yangsan fault zone (Eonyang area). The resistivity anomaly zones developed in the NNE to NE direction were confirmed by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ccording to the electrical resistivity, micro-topographic, and field geologic surveys, the Yangsan fault has been formed by three to five fault cores, fault damage zones and/or fractured zones.

서 론
연구방법
지질 특성
지구물리탐사 결과
결 론
사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