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년 동안 drug delivery system의 기술이 1) 생체이용율 및 치료효과의 증대, 2) 부작용의 감소, 3) 환자의 복약순응도 향상 등의 목적으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DDS 영역은 1) site-specific drug delivery system, 2)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3) oral drug delivery system, 4) non-invasive delivery system 등으로 연구분야가 뚜렷하게 구분되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DDS제품은 device로부터 약물의 방출속도 양상을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약물의 방출제어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품질이 보증된 제품이 임상에 사용되기 위해서 in vitro와 in vivo에서 평가를 하여야 한다. in vitro에서 device로부터의 약물의 제어방출 양상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in vitro 약물용출 시스템이 적절하게 설계되어져야 한다. 즉, 설계 초기단계에서는 약물분석에 있어서 분석법의 감도, Sink 조건의 장기간 유지, 용액확산의 동수역학측면, 검체채취의 재현성과 용출액의 양과 온도 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이 세심하게 검토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