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험처치방법을 사용해 프레젠스의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디자인은 새로운 기술 기반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위한 에이전트의 차원들(자막, 음성, 2D, 3D. 실사, 캐릭터 성별)을 통해 제시되는 프레젠스 분석에 있다. 이를 위해 232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고, 에이전트 차원과 이용자 유형에 의한 프레젠스 인지적 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자 유형과 프레젠스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원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캐릭터의 성별, 음성 여부, 자막 여부, 캐릭터의 차원에서 어느 정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of presence using the experimental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nce through the dimensions of character agents(text, voice, 2D, 3D, reality character dimension and gender) for e-learning platforms that used new technology-based content. There were 232 experimental participants in the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ir cognitive awareness of presence by agent dimensions in the first level to measure the presence level in the types of us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users and presenc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dimension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haracter gender, voice or non-voice, text or non-text and character dimen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