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處容歌)>는 대표적인 신라 향가로서 신라 헌강왕 때 처용(處容)이 부른 8구체 향가이다. <처용가>에는 처용이 아내의 불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 가요가 노래로 엮어져 지금까지 불리고 있다. 따라서 <처용가>는 노래로서의 운율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음악적 특징도 잘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절 구조적 측면에서 <처용가>의 음절에 대하여 하나하나 분석함으로써 <처용가>의 운율 구조의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처용가>가 어디에서 어떻게 왔는지에 대한 출전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처용가>의 운율적 구조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운율 구조 분석을 토대로 <처용가>의 음절수와 운각(韻脚)을 위주로 운율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처용가>는 현대 가요와 마찬가지로 압운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처용가>는 한 곡의 노래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Since Ch`oyongga (Song of Ch`oyong) is a song, it must be sung in form of a song and not a plain verse. This paper tends to make an analysis of Ch`oyongga`s sound structure and to find out its sing elements based on linguistic literatures published. The tentative conclusion is: Ch`oyongga is actually a song as it has rhyming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