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활동하는 오키나와의 작가 중 오키나와의 독립론을 뚜렷한 정치의식으로 표방하면서 그것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하는 메도루마 슌(目取眞俊, 1965~)에 대한 이해는 그의 문학과 분리시켜 생각해서 곤란하다. 이것은 메도루마의 초기 작품부터 매우 중요한 문제의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초기 작품은 메도루마의 문학적 행동주의와 결코 무관할 수 없는바, 오키나와의 폭력 양상과 그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폭력은 오키나와를 덧씌운 전`후`의 위선적 현실-평화 그 자체가 얼마나 폭력을 은폐하고 있는지, 이는 오키나와전에 대한 기억과 투쟁의 정치를 순치시키고 무화시키려는 국민국가의 제도적 폭력을 드러내는 것으로 그려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메도루마는 오키나와전의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천황제를 과감히 비판할 뿐만 아니라 미군점령이 야기한 숱한 폭력에 대한 대항폭력(counter violence), 즉 문학적 보복을 가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오키나와의 일상에 깊숙이 침전된 온갖 폭력의 양상을 응시함으로써 오키나와를 일방적 폭력의 피해자로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오키나와 내부에 똬리를 틀고 있는 오키나와에 침전/전도된 제국의 폭력의 양상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분열증적 증후를 앓고 있는 오키나와에 대해서도 매서운 비판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메도루마의 작품 속에서 주목되는 오키나와를 에워싼 폭력의 양상이 그의 문학적 행동주의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메도루마는 그만의 독특한 문학적 보복을 통해 표면상 오키나와의 일상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미국-미군 기지와 이것의 이해관계에 편승한 일본을 겨냥한 대항폭력을 실천한다. 물론 여기에는 오키나와 폭력의 기제에 대한 발본적 문제제기와 합리적 해결책 없이 일본이 기만적으로 포장하는 평화의 쉼터와는 거리가 먼, 그래서 유무형의 폭력으로 점철된 지옥도가 바로 오키나와의 현실로 도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한다. 따라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대항폭력을 단순히 판단해서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은 `오키나와 리얼리즘`의 한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Among the Okinawa`s working novelists what the understanding about Medoruma Shun who has not only independent agenda of Okinawa in terms of absolute political consciousness but also practices directly it for himself can`t be consider being separated from his literature. This has been plac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from his early works. Medoruma`s works can never be indifferent to his literary activism. It is the literary correspondence on Okinawa`s violence aspects. What the violence emerging in his works is described how to hide violence through hypocritical reality of post war being covered Okinawa, the politics of memory and struggle on Okinawa War tamed are revealed by nation state`s systematic violence. Meanwhile Medoruma does not only criticize the Emperor System of Japan, shows the trauma of Okinawa War, but also performs counter violence i.e. literary revenge on something kinds of violence being influenced by USA dominates. Besides he gazes diverse Okinawa violence aspects sanctioned deeply in Okinawa daily lives that`s why beyond acknowledgement recognition as victim for unilateral violence shows sharp critical position towards Okinawa being troubled schizophrenic symptoms in this reality. Therefore we inspect how to emerge the violence aspects surrounded Okinawa being focused on Medoruma`s works through his literary activism. He practices counter violence against Japan of which is related to the interests with USA-USA military base risking Okinawa`s daily lives. Of course there is a significant watch on what the hell will approach to Okinawa`s reality unless the radical questions and reasonable solutions on the mechanism of violence in Okinawa will be submitted for us. Hence there is the very reason why we don`t simply recognize his literary revenge-counter violence. So, his literary revenge helps the understanding on Okinawa Re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