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제노사이드 영화와 사회치유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Genocide Films and Social Healing -focusing on Documentary of Joshua Oppenheimer
임정택 ( Lim Jeong-taeg )
탐라문화 54권 105-141(37pages)
UCI I410-ECN-0102-2018-900-000445761

본 논문은 1965~66년의 인도네시아 제노사이드를 다룬 조슈아 오펜하이머의 영화 <액트 오브 킬링>과 <침묵의 시선>을 치유와 화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두 영화의 분석에서 얻은 결과를 기반으로 제주 4·3 사건을 다룬 오멸 감독의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2>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제노사이드 영화를 통한 사회치유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화 분석에 앞서 본 논문은 트라우마는 상상력의 장애이고 표현의 장애이며 언어의 장애라는 명제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영화는 표현의 장애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치유의 수단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액트 오브 킬링>에서 오펜하이머는 살인자들로 하여금 자기들이 저지른 살인을 재연하게 함으로써 영화를 직접 만들도록 한다. 영화 만들기를 통해서 살인자들은 당시의 대량학살을 적나라하게 재현하고 있다. 동시에 살인자들은 자기들이 만든 영화에 대해 자기성찰을 하면서 가해자로서 겪는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있다. 반면에 <침묵의 시선>은 피해자의 가족인 아디가 형의 죽음에 대해 가해자들과 인터뷰를 시도하면서 진실을 추적한다. 그러나 가해자들은 침묵, 무책임, 범죄의 불인정, 부정, 책임회피, 정당화, 심지어 협박으로 반응한다. <지슬>은 구원과 치유를 컨셉으로 하면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대립구도를 해체한다. 제사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지슬>은 희생자를 위로하고 생존자의 상처를 치유한다. 세 개의 영화는 모두 국가의 구조적인 폭력보다는 인간으로서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고통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치유를 추구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from perspectives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Joshua Oppenheimer`s films “The Act of Killing” and “The Look of Silence” which deal with the Indonesian Genocide of 1965~1966. Furthermore, based on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e paper intends to compare the two films with and discuss Muel O`s “Jiseul: The Unfinished Years II,” a movie about the tragic Jeju April 3 Incidence. The author accordingl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social healing through genocide films. Before the film analysis,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oposition that trauma is an impediment to imagination, expression and language. It also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films serve a means of healing which can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impediment to expression. In his “The Act of Killing”, Joshua Oppenheimer inspires murderers to make a film by challenging them to reenact their killings. “The Act of Killing” represents the genocide explicitly through the murderers` participation in the film-making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murderers introspect about the film they have made and disclose the trauma they have experienced as perpetrators. On the contrary, “The Look of Silence” tells the story of Adi, a member of a victim family, who tries to trace the truth by interviewing his brother`s killers about his death. However, the killers respond with silence, irresponsible behavior, disapproval, denial, avoidance, justification, excuses or even naked threats. The film “Jiseul” breaks down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by conceptualizing the ideas of redemption and healing. The film which features the scenes of performing memorial rites attempts to comfort victims and heal survivors` broken hearts. All of the three films pursue social healing with a focus on the pain of perpetrators and victims as human beings, rather than the structural violence at a national level.

I. 서론
II. 역사적 트라우마와 제노사이드 영화
III. 가해자의 영화 <액트 오브 킬링>
IV. 피해자의 영화 <침묵의 시선>
V. 가해자와 피해자의 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2>
VI.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