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7세기 이래 일본 사료에 나오는 마쓰시마(독도)가 어떠한 성격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일본 사료 속에 독도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는 독도가 일본에 속하는 영토인가를 가늠하는 주요한 지렛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의 전말을 소상히 밝히고, 이에 대한 막부의 대응 등을 살펴 이 사건이 함의하는 역사적 의의. 특히 에도시대의 독도 영유권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17~18세기에 걸쳐 일본 사료에 나타나는 독도는 조선인의 일본 연행과 관계되거나, 일본에서 울릉도 도해 여정을 기록할 때 병기되어 있다. 이것은 일본인의 독도 도해는 어업으로나 영토로나 무의미함을 나타낸다. 1720년대 막부가 울릉도 독도 조사는 울릉도 독도에 대한 조사로 보기보다는 무기류 밀무역과 관련되어 있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해상 운송과 해상 운송로 발전으로 울릉도 독도가 해상 운송도중에 해상 운송업자들에게 발견되었을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리고 19세기에 오면번 재정 악화 타개 모색과 어업을 하기 위해 울릉도 도해를 고려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이 발생한다.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은 하마다 에도 번저, 하마다번, 그리고 하치에몽으로 대표되는 해상 운송업자와 주로 오사카 상인들이 조직적으로 관여해 계획한 것으로,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막부는 이 사건을 매우 엄중히 다루어 마쓰다이라 야스토에게 영구 칩거, 하마다번 관리들의 자살, 하치에몽과 하시모토산베에에게 사형을 명하였다. 막부가 이렇듯 중형을 선고한 것은 당시 서양선박, 특히 러시아선이 일본에 도항하고 있었고, 그에 대해 이국선 무조건 격퇴정책(異國船無二念打拂令)이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특히 총포의 해외유출과 밀무역과 관련되어 있다. 한편 막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울릉도 도해 금지령을 전국에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 명령의 주요 내용은 전국의 방방곡곡에 내려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민의 원해 도해 금지령의 성격이 강하다. 막부가 지적하듯이 항해 중에 이국인과의 조우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명령은 단순히 일본 인민만 관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독도에 대한 모든 권리-원래 존재했던 것은 아니지만-를 완전히 포기한 것으로 보아도 좋다. 왜냐하면, 일본 인민의 연안 항로 이용은 더 이상 울릉도 독도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울릉도 독도가 조선령이라는 막부 입장은 안용복 박어순의 일본 연행 사건의 처리 과정에서도 동일하며, 하치에몽의 울릉도 도해사건의 처리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메이지(明治)정부에서도 관철되어 1878년 독도가 적어도 일본령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s which feature Matsusima(Dokdo) has in Japanese historical records since 17th century. It would be a base of judgement if Dokdo belongs to Japanese territory or not.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the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minutely. It can clarif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is affair by examining action of Japan`s feudal government. Through 17-18th century, Dokdo in Japanese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when taking a Chosun national to Japan or recording a voyage from Japan to Ulreungdo. This means that Dokdo voyage was meaningless as fishing and territory for Japanese. The investigation of Ulreungdo and Dokdo by Japanese feudal government in 1720 seems related to weapon smuggling, not to Ulreungdo and Dokdo themselves. Despite of th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were found by maritime freight forwarders on their way to them due to improvement of shipping. There is another assertion that Japanese started to consider Ulreungdo voyage as solutions against financial crisis and fishing. Hachiemon`s voyage happened around this time. This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shows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at time because it was organizationally planned by Hamada Edo Bun, Hamada Bun, maritime freight forwarders such as Hachiemon and mainly Osakan merchants. Meanwhile, the feudal government dealt with this affair strictly and gave orders to Matsudaira Yasuto to seclude permanently, officers of Hamada Bun to commit suicide, and Hachiemon and Hashimoto Sanbe to face capital punishment. The reason why the feudal government sentenced severe punishments is that Western ships, especially Russian, went over to Japan, and the unconditional repulse policy against foreign ships was in force at that time. This was especially related to outflow and smuggling of firearms. The feudal government issued an embargo on voyage to Ulreungdo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we can see it was issued all over the country, this embargo has a strong inclination letting people not make a voyage to the ocean. As the feudal government pointed out, it is to avoid encountering foreigners during a voyage. This is related to not only Japanese people, but also abandonment rights to Dokdo entirely-though those didn`t exist. This is because the embargo can be construed as block any access to Ulreungdo and Dokdo. This stance of the feudal government that Ulreungdo and Dokdo belongs to Chosun territory is same as in the process of the affair of taking Yongbok An and Eosun Park to Japan. It is also shown in the process of the affair of Hachiemon`s Ulreungdo voyage. This stance had been carried through the Meiji government, and it clarifies Dokdo doesn`t belong to Japanese territory at least in 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