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전형유형에 따른 계열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별로 2010∼2012학년도 입학생의 전공과 비전공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전공과 비전공 GPA를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인문계열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특기·적성에서는 전공평점이 비전공평점보다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자연계열의 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수능에서, 비전공평점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특기·적성의 전공평점은 가장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한의과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전공평점은 특기·적성에서, 비전공평점은 입학사정관전형에서도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예능계열은 입학사정관, 학생부교과, 논술전형에서 전공과 비전공평점 모두 높은 GPA가 나타났으며, 특기·적성유형은 전공평점이 비전공평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체능계열은 학생부교과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전공 과 비전공평점 모두 높은 GPA가 나타난 반면, 특기·적성전형에서 가장 낮은 GPA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공과 비전공 GPA의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Grade Point Average (GPA) based on their admission types. The GPA for major and non-major courses of the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10 to 2012, categorized by admission types, was studied. In the Humanitie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the AOS students showed high GPAs whil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type students showed lower GPAs in their majors than their non-major courses. In the Natural Science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tudents received high GPAs in their major courses, and the Grade type and AOS performed well in their non-major courses. In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overall, whil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type and the AOS students had high GPAs in their major and non-major courses, respectively. In the Arts Department, the AOS, Grade type, and the Essay type students all had high GPAS in both the major and the non-major courses. In the Athletics Department, the Grade type and AOS type received high GPAs in both the major and the non-major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