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염산프로프라놀롤은 경구투여 후 흡수 및 배설이 단시간내에 일어나므로 약물 혈중농도를 지속시켜 줄 목적으로 cellulose acetate phthalate(CAP)를 피막물질로 하여 microcapsule을 조제하고 용출특성 및 표면형태를 관찰하였다.
(방법) beads 및 염산프로프라놀롤을 핵물질로 하고 CAP를 피막물질로 하여 coacervation-phase separation 방법에 의해 microcapsule을 조제하고 대한약전 붕해시험 제 1액 및 제 2액에서 용출시험을 행하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를 통하여 microcapsule의 표면형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core : coat의 비를 변화시켜 조제한 microcapsule의 평균 입자경과 표면형태를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과) 염산프로프라놀롤의 경우 붕해시험 제 1액 및 제 2액에서 3분이내에 99.0% 이상이 용출되는 반면 microapsule은 용출이 상당히 지연되어 10% CAP 용액으로 조제한 microcapsule의 T_(50%)는 각각 6시간 30분 및 3시간 20분이었고 12.5% CAP 용액으로 조제한 경우에는 제 1액에서 T_(50%)는 12시간 이후에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며 제2액에서는 4시간 10분이었다. microcapsule의 표면에 hollow가 관찰되었다. 또한 core : coat의 비를 0.5 : 1.0에서 2.0 : 1.0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조제한 microcapsule의 평균 입자경에는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그 비가 증가할수록 microcapsule의 표면은 점차 거칠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