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Der Begriff des Subjekts und die konkrete Allgemeinheit - In Bezug auf die konkrete Allgemeinheit bei Zizek und Hegel -
최일규 ( Choi Ill-guy )
헤겔연구 40권 113-136(24pages)
UCI I410-ECN-0102-2018-100-000508614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과 지젝의 중심개념인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이론적 측면에서 주체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젝은 헤겔의 주체 개념을 독자적으로 해석하며 까다로운 주체라고 규정한다. 그가 이렇게 파악하는 이유는 헤겔에게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며, 부정성과 주체 상실의 계기를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헤겔은 코기토에서 세계의 밤으로 명명되는 광기의 과잉적 계기를 인식했으나, 자신의 3중성 철학 체계로 인해 주체가 가지는 정신분석학의 요소들을 제대로 평가하지도 못하고 학문적으로 밝히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젝은 특수성을 보편성과 필연적으로 결합시키며 파악하는 헤겔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독창적이라고 평가하지만, 헤겔이 특수성의 좌절로 인해 보편성이 등장하게 되는 역동적 구조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지젝에게 구체적 보편성은 특수한 것이 자기 자신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수한 자아, 특수한 문화, 특수한 국가가 자신의 특수성을 실현할 수 없는 좌절을 체험하는 순간에 보편성을 경험하게 되는 그러한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과 비판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을 밝혀 개념으로서의 주체와 올바른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위해서 본 논문은 첫째,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지젝의 해석을 해명하며, 둘째, 헤겔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젝 해석의 타당성과 의의를 점검하고 있다. 정신분석적 개념들을 매개로 헤겔 철학에 새로운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지젝의 의도와 시도는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헤겔의 철학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 Zizeks und Hegels Philosophie aufzuhellen.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hat sowohl bei Zizek als auch bei Hegel sehr eng mit dem Begriff des Subjekts zu tun. Um zu vergleichen, wie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terpretiert und was Hegel eigentlich unter dem Begriff als Subjekt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versteht, gliedert sich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in zwei Kapitel. Im ersten Kapitel wird behandelt und gezeigt, dass Zizeks Kritik an Hegels System der Philosophie damit zu tun hat, dass Hegels Subjekt nach Zizeks Interpretation zwischen der konkreten Totalitat und der abstrakten Negativitat zwangsweise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Dadurch, dass Zizek unter Hegels Begriff des Subjekts die abstrakte Negativitat oder die Kontingenz hervorhebt, macht er einen Riss zwischen der ersten und zweiten Natur in Bezug auf Hegels System zum Thema. Die Allgemeinheit wird konkret oder fur sich dadurch, dass das Subjekt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Im zweite Kapitel wird uberpruft, ob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richtig versteht. Behauptet und gezeigt wird, dass Zizek den dialektischen Ubergang der Substanz zum Begriff des Begriffs nicht richtig versteht. Es ist wichtig aufzufassen, dass Hegel den Begriff des Begriff als Subjekt versteht. Es ist auch wichtig zu wissen, dass Hegel wegen der logischen Struktur der Begriffsmomente den Begriff des Begriffs fur Subjekt halt.

1. 서론
2. 헤겔의 주체와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
3. 개념으로서의 주체와 구체적 보편성
4. 결론: 구체적 보편성으로서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