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소나무림에서의 풍속과 실효습도 변화에 의한 대형산불 위험예보
Large Fire Forecasting Depending on the Changing Wind Speed and Effective Humidity in Korean Red Pine Forests Through a Case Study
강성철 ( Sung-chul Kang ) , 원명수 ( Myoung-soo Won ) , 윤석희 ( Suk-hee Yoon )
DOI 10.11108/kagis.2016.19.4.146
UCI I410-ECN-0102-2018-500-000518270

본 연구에서는 과거 대형산불 지역의 사례분석을 통해 대형산불 발생 전의 건조현상과 강풍 등 악기상 정보와 임상조건을 활용하여 대형산불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는 지역을 미리 예보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사례분석은 과거 20년간 발생한 100ha 이상의 대형산불 3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형산불 위험지역은 소나무림 30ha 이상 지역 중 주변 소나무림간 최대 이격거리가 2㎞ 범위 내에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평균풍속은 평균 5.3m/s, 최대 11.6m/s, 표준편차는 2.5m/s 범위에서 대형산불이 발생하는 특성을 보였다. 실효습도는 평균 30%, 최소 13%, 표준편차 14.5%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대형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소나무림 추출 지역을 대상으로`대형산불 주의보`는 실효습도 30~45% 범위에서 2일 이상 지속되고 풍속이 7m/s 이상일 때 발효하고,`대형산불 경보`는 실효습도 30% 미만이 2일 이상 지속되고 풍속이 11m/s 이상이 예상될 때 발효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대형산불 위험예보`로 인해 악기상 변화에 따른 대형산불 위험지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산불방지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arge fire forecasting system using critic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strong winds and effective humidity. We incorporated information on forest type prior to large fires using an incident case study. The case study includes thirty-seven large fires covering more than 100 ha of damaged area over the last 20 years. Dangerous large fire regions were identified as areas of more than 30 ha of Korean red pine and the surrounding two kilometers. Large fires occur when wind speeds average 5.3 m/s with a maximum of 11.6 m/s and standard deviation of 2.5 m/s. Effective humidity for large fires average 30% with a minimum of 13% and standard deviation of 14.5%. In dangerous Korean red pine stand areas, the large fire `Watch` level is issued when effective humidity is 30-45% for more than two days and average wind speed is 7-10 m/s. The `Warning` level is issued when effective humidity is less than 30% for more than two days and average wind speed is more than 11 m/s. Therefore, from now on, the large fire forecasting system can be used effectively for forest fire prevention activities based on a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in dangerous large fire regions using severe weather condi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