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영화 <몽실언니>와 영화교육 - 메를로-퐁티의 몸과 영화론을 중심으로 -
Movie < Mongsil Sister > and Movie Education: Focusing on Merleau-Ponty`s Body and movie Theory
강진우 ( Kang Jin-woo )
어문론총 70권 303-333(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51199

영화를 볼 때 관객은 수동적 체험과 능동적 체험을 교차한다. 영화의 의미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공감각적으로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관객의 적극적인 체험, 상상활동 등의 의미 구성활동을 통해 완성된다. 몽타주 이론이나 데쿠파주 이론이 아니더라도 영화에서 몸의 봄과 보임 사이에 놓이는 관객은 영화에서 대상이자 주체의 시간과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작용한다. 이때의 관객의 몸이 곧 세계이며, 이 세계는 소통의 중심이다. 이러한 영화를 지각하는 몸은 삶과 세계에 대한 운동능력을 키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메를로-퐁티의 몸과 상상력, 그리고 몸틀을 구성하는 습관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화적 체험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우리 몸을 중심으로 세계를 지각하고, 세계 속에서 운동한다. 이러한 몸의 성향을 배제한 교육 활동은 예술에 대해 타자로 남게 할 것이고, 관객이 영화예술을 대상으로만 보도록 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글에서 몸의 상상력이 구체화되고, `몸틀`을 구성할 수 있도록 `습관화` 과정에 집중하여 영화 <몽실언니>의 성격에 맞게 학습활동으로 제시하였다.

When watching a movie, the audience crosses passive experience and active experience. Since the meaning of the film is composed of various images in a sympathetic sense, it is completed through the semantic composition activities such as active experience of the audience and imagination activities. Even if it is not a montage theory or a decoupage theory, a viewer interact with the movie as the object and form the time and space of subject. The body of the audience at this time is the world, and this world is the center of communication. The body that perceives these movies develops the athletic ability for life and the world. In this article, I discussed Merleau-Ponty`s body, imagination, and cinematic moving in order to gain a habit of composing `le schema corporel`. We perceive the world around our bodi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xercise in the worl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exclude this tendency of the body will be left as a batter against the arts and allow the audiences to view the movie art as `object` only. Therefore,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process of `habituation` so that the imagination of the body becomes concrete and `the le schema corporel` can be formed and presented the movie `Mongsil Sister` as a learn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it

1. 상상력과 몸
2. 영화의 몸과 관객
3. 영화의 몸과 감각
4. 영화 <몽실언니>와 교육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