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 섭취의 증가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발생과 같은 전신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아침식증과 같은 구강질환의 원인으로도 구강건강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있어 음료 선택 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7종 52개로 탄산음료 14제품, 혼합음료 13제품, 과채음료 11제품, 유음료 5제품, 과·채주스 4제품, 액상커피 3제품, 액상차 2제품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음료의 영양성분표시, 당도,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성분표에 의한 음료 1회제공량 당 당류의 함량 분석결과, 유음료가 26.6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차가 13.0 g으로 가장 낮았다. 당류의 에너지 섭취량을 10% (50 g)미만으로 분석한 결과, 유음료와 탄산음료가 각각 53.2%DV, 50.0%DV로 1회제공량 당 50% 이상의 당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 조사에서는 유음료가 18.3%로 가장 높았으며, 과·채주스 12.2%, 탄산음료 10.3%, 액상차 9.7%, 과·채음료 9.0%, 혼합음료 8.0%, 액상커피 6.5% 순이었다. 음료의 pH측정결과 탄산음료가 3.0으로 가장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음료는 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강보건교육시 영양교육에 있어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abeling of nutritional components on beverages to aid in nutrition education and oral health promo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tional effect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different beverages with respect to oral health. A total of 52 products from seven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were analyzed for their nutrient content, sugar content, and pH. The sugar content per serving size, based on the nutrition labeling of beverages, was highest for the milk beverages, at 26.6 g, and lowest for the teas, at 13.0 g.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everages should contain less than 10% (50 g) total sugars. Our assessment revealed that total sugars in and carbonated beverages were 53.2% and 50.0% of daily value, respectively. Therefore, the milk and carbonated beverages contained more than 50% sugars per serving size, exceeding the recommendation of WHO. The pH of the beverages, from the most acidic to the least acidic were: carbonated beverages, pH 3.0;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pH 3.1; mixed beverages, pH 3.6; fruit and vegetable juices, pH 3.7; teas, pH 4.7; coffees, pH 6.6; and milk beverages, pH 6.8. The intake of acidic and sweetened beverages could potentially cause dental caries and eros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y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counsel their patients by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y of oral disease caused by consumption of commercial bever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