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이현옥 ( Hyun-ok Lee ) , 박지영 ( Ji-young Park )
UCI I410-ECN-0102-2018-500-000250148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행복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많고, 치과 정기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하위개념 중 기능장애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세치제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신체적 통증에서는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불편감은 성별, 칫솔질 횟수, 정기검진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신체적 능력저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능력 저하는 연령, 동거인유무, 배우자 유무,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또한 연구대상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동거인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OHIP-14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고, 구강관련 삶의 질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 및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다양한 노인구강향상프로그램 개발 등의 여러 사회적 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in senior citizen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ir happiness index.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0 senior citizens aged 65 years or older, who resided in North Jeoll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7 to 30, 2016. The happiness index of elderly people who brushed their teeth more often and had dental checkups on a regular b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Evaluation of sub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unctional disturbance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and the use or nonuse of dentifrice (p<0.05). Physical pain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educational level, monthly mean allowance, and regular dental checkups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sychological discomfort according to gender,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regular dental checkups (p< 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lining physical capacity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mean allowance (p<0.05); waning mental capacity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ge, living alone or with another pers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and regular dental checkups (p<0.05).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happiness index in senior citizens were age, living alone or with another person, educational level, monthly mean allowance and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score (p<0.05). The study showed that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s for this popul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