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의례의 분석을 통해 본 진보적 여성연대 한국여성대회(1985~2016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itual of International Women`s Day and Progressive Women`s Solidarity in Korea
신상숙 ( Shin Sang-sook )
기억과 전망 35권 319-371(53pages)
UCI I410-ECN-0102-2018-300-00053066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지구촌의 대표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은 `3·8 세계여성의 날`과 이를 기념하는 의례는 각국의 여성들이 해당 사회의 조건 속에서 자신들의 필요와 열망을 표출하고 여성들 간의 연대를 확장하는 기능을 해왔다. 3·8 세계여성의 날이 국경을 초월한 여성연대의 상징이라면, 이를 기념하는 행위는 지역화된 여성운동의 동원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과거를 기념하는 의례가 저항의 의미를 함축하고 현재의 운동에 대하여 내재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때, 그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의례에 대해서도 `운동`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부터 3·8 국제부인데이를 기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으나, 이 기념의 전통은 분단과 전쟁을 거치면서 남한 땅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이처럼 명맥이 끊겼던 기념의 실천을 되살린 것은 1980년대에 군사독재 시기에 등장하여 여성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던 진보적 여성단체들이었다. 이 단체들이 1985년에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개최한 제1회 한국여성대회는 그 출발점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한국여성대회`는 진보적 여성단체들의 연대를 촉진하여 `한국여성단체연합`의 출범(1987)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연합운동의 존재는 국경과 지역의 경계를 횡단하는 3·8 기념의례의 지속성과 여성연대의 확장에 일조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대회`를 비롯하여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여성운동의 집합적 실천의 역사를 조명함으로써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의 변화상을 분석하고, 3·8 여성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들을 짚어보는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 부단히 이어진 `한국여성대회`는 여성운동의 입장과 요구를 대외적으로 선언하는 집회에서 문화적 축제로 그 의례의 형식과 내용이 변모하면서 발전해왔다. 이 글에서는 1985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한국여성대회`를 중심으로 기념의례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지역의 차원에서 이뤄진 3·8 기념의례의 확산 과정을 아울러 살펴본다.

International Women`s Day and various events to celebrate it have contributed not only to expressing their needs and aspirations but also strengthening solidarity among women in each socie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mmemoration ceremony of International Women`s Day, which is held around March 8 every year, is a local mobilization process of the women`s movement with a global symbol of women`s solidarity. In Korea, the commemora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s Day commenced in the 1920s,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However the act of commemoration disappeared in the South Korean territory through the Korea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the progressive women`s organizations that emerged in the 1980s,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that revived the tradition of commemoration. The progressive women`s groups participating in the new women`s movement in pursuit of social democracy held the first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on March 8, 1985. This is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oalition building, which made it possible to launch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KWAU), the umbrella organization of the progressive women`s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ve practice of the women`s movement in commemoration of International Women`s Day such as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has been developed from a rally declaring the positions and demands of the women`s movement to cultural festivals by changing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ritual.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Korean Women`s Day Convention from 1985 to 2016, and examine the proliferation process of the rituals held at the local leve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