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in van Hiele`s Geometric Teaching Using GeoGebra
임현정 ( Lim Hyun Jung ) , 고상숙 ( Choi-koh S. S )
UCI I410-ECN-0102-2018-300-000288359

본 연구는 기하학습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였을 때 도구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와 이 도구화가 교수법과는 어떤 관계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공학환경에서의 van Hiele 교수학습 모델에 근거한 4차시 학습지도안이 구성되었고 2015년 5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도구화는 준비기, 적응기, 응용기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학습차시를 진행하면서 시각화에 의존하는 준비기와 적응기에는 실제 시행착오적 과정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가 덜 필요한 단계, 즉 응용 기에서는 도구의 역할이 자신의 추측과 정당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도구화 과정에 따른 교수법을 구성하여야 하며, 공학 도구사용이 학생의 학습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변화되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교수법에서 학생들의 도구화 과정에 대해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students` instrumentalization in relation to the van Hiele`s teaching method within a technology environment using GeoGebra. To carry out the study, a total of 4 lesson units was developed based on van Hiele teaching method for two slow learn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Instrumentalization of students was actualized from preparation, to adaptation, and to application stages. In preparation, and adaptation stages, depending on visualization, students used a trial-and-error method a lot, however in application stage the role of GeoGebra was just to check the solution of what they conjectured. Therefore, a teacher should prepare geometric tasks according to the processes of instrumentalization based on geometric teaching method. During instrumentalization and instrumentation of users, usage scheme(US) and instrumented action scheme(IAS) should be concret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