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SCOPUS
Ferroglycine Fumarate 의 약제학적 연구 Ⅰ: Ferrous Fumarate 의 Glycine Complex 에 대한 연구
Pharmaceutical Studies on Ferroglycine Fumarate (Ⅰ) : Studies on Glycine Complex of Ferrous Fumarate
신현종(Hyun Jong Shin), 이완하(Wan Ha Lee)
UCI I410-ECN-0102-2008-510-00081530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목적) 철은 인체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필수 무기질로 생리작용에 직접 관여하지만 부족시에는 철결핍성 빈혈을 일으키며, 치료를 위해 투여되는 철제중에는 장내용물과 장시간 접촉으로 유기물질과 결합하거나 3 가철로 산화되어 흡수가 어려워져서 치료효과가 없거나 식욕부진·오심·복통·구토·위장출혈 등 부작용이 심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ferrous fumarate에 glycine을 결합시켜 prodrug를 만들어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방법) ferrous fumarate에 glycine을 결합시켜 ferroglycine fumarate임을 UV spectrum, IR, DSC, X-ray diffraction 등의 기기분석으로 확인하고 이 물질의 분배계수·용출속도·혈중농도·위점막장해·위점막 손상·급성독성 등을 실험하여 ferrous fumarate, FeSO₄, ferroglycine sulfate와 비교하였다. (결과) ferrous fumarate와 glycine의 결합조성비는 1:1이며 제조한 물질은 ferrog-lycine fumarate로서 octanol-water phase등의 분배계수와 용출율 t_(50%)가 ferrous fumarate보다 높았고, 혈중농도도 C_(max) 이 30분에 원물질보다 5.6배, AUC_(0→25 hr)도 약 4.6배 높았다. 위점막장해의 SUD_(50)과 위점막 손상은 현저하게 적었으며 LD_(50)은 13.9mMo1/㎏이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