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학은 격변기 미국사회의 산물이었으며, 그 주창자들은 당시의 긴급한 사회문제 해결이 행정과 행정학의 사명임을 분명히 하고 기존의 행태주의적 연구경향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사회적 형평성은 전통적 행정에 의한 공공서비스의 불공평한 배분을 시정하고, 사회적 약자의 삶을 개선하는 것이 행정의 임무임을 말해주는 신행정학의 중요한 가치지향이다. 이 연구는 신행정학의 태동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 주요 문헌 및 그에 대한 설명과 논평을 담고 있는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신행정학의 대체적 모습을 구성해 보고 사회적 형평성을 중심으로 신행정학을 개념화한 프레드릭슨의 논의를 살펴본 후, 신행정학을 현재의 시점에서 재평가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