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리듬 개념에 대한 재사유와 김영랑 시의 리듬 1930년대 전반기 시들을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 Rhythm and Rhythm of Kim Yeong-rang`s Poetry Focusing on Poems of the First Half of 1930s
홍성희 ( Hong Sunghee )
DOI 10.19115/CKS.24.2.2
UCI I410-ECN-0102-2017-800-000578311

본고는 김영랑 시 언어 분석을 통하여, 시의 리듬이 특정한 자질들의 반복 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매순간의 음성적 실천 자체에서 항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고는 첫째로 `리듬`의 어원을 살핌으로써 반복과 정형으로 규정되지 않는 `흐름`의 양태로 `리듬`이 재사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둘째로는 한국 풍물굿에서 `리듬감`이 형성되는 양식을 참고한다. 이는 `개념화 이전`으로 돌아가 리듬의 기원적 의미를 찾으려는 것도, `전통` `음악` 속에서 리듬이 실천되어온 방식을 한국 시 리듬의 기원으로 발견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며, 오히려 그것은 `반복이 아닌 리듬`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리듬을 사유하는 본고의 이러한 입장은 김영랑의 시 언어에서 언어의 음성적 진행 자체가 음가들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해 비-규칙적이면서 역동적인 움직임, 흐름으로서의 리듬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이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분석은 음운론적 단위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는 양적 연구의 방법론을 넘어서, 음가가 음성으로 실천될 때에 발생하는 다채로운 변화양상을 들여다보고, 그것이 언어의 의미망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의 방법론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음성적 진행이 각 행들의 의미와 긴밀히 연결되면서 시행들 간의 상호작용을 추동하고, 그로써 시 전체가 하나로서 고양되도록 하는 양상을 살핀다. 바로 이 고양 속에 언어 자체의 리듬으로서의 실천이 동반되어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This study explores rhythm of poetry as irregular, non-segmental aspect of flow of inter-acting phonetic values, examining Kim Yeong-rang`s poetry in the first half of 1930s. Rhythm has been studied as what is `formed` through the `repetition` of particular syllables or specific unit of sounds. As the structure of thought of `repetition and variation` segments undividable continuation of phonetic sounds and formalizes op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segments, rhythm has been considered as a matter of regulation and set pattern. Howev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as a poem is a body of solidarity of interacting sounds of its language, rhythm of poetry is generated in its natural phonetic performance of language before it is consciously recognized as a definite form. This study shows that rhythm is in natural what is sensed within the irregular but continual movement of articulation by examining the etymology of `rhythm`, the unconstrained variation of rhythm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alled “Pungmul”, and the impressive performance of language in Kim Yeong-rang`s poetry. Analysing lines in diverse poems of Kim Yeong-rang and the whole po-em called `Morani pikikkajineun`, this study will show the rhythm of language itself as the aspect of flow of interacting articulations effectively meets the structure of meaning raising the poem as a who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