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소통 상황에서 신뢰성이 어떻게 확보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 이것이 국어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를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발표된 교육과정 내용을 검토하고 교과서 단원과 활동들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아직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한 매체의 신뢰성 확보 전략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전통적 소통 상황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과 소셜 미디어 소통 상황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비교하여 그 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 둘은 대립 관계나 상호 부정이 아닌 추가, 발전의 관계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소셜 미디어를 교육 내용으로 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지에 대해 다각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탐색한 소셜 미디어 소통 상황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1) 언어 표현의 논리성과 체계성을 갖추는 한편, 복합양식적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 2) 자료 출처가 정확해야 하고 이를 재확인(추적)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 3) 필자의 공신력을 확보하되 독자들이 이를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등이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get the credibility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and navigat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tudy, we reviewed the Korean curriculum content and analyzed the textbooks and lesson activities. Through this review, we knew the lack of strategy of getting credibility in social media situation. To find a solution to this, a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onditions measures to ensure the credibility and the social media cinditions to ensure the credibility. It deriv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two were explores in terms of multi-layered about what to consider some points as opposed to negative and trade relations have been added, was confirmed educate future social media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not. Measures to ensure reliability in the social media traffic conditions discovered in this study are 1) To maintain logicality and systemics and to use multiple text in language expression 2) Source may be accurate, Review 3) writers must have credibility. And the reader should be able to verify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