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구강 통증을 경험한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Unmet Dental Care Needs of Adults with Dental Pain
안은숙 ( Eunsuk Ahn ) , 신명숙 ( Myong-suk Shin )
UCI I410-ECN-0102-2017-510-00060208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와 그에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미충족 치과의료를 정의하는 데 있어 치과의료의 필요를 치통을 경험한 사람 중 적절한 치과 의료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한 사람으로 제한하여 의료 필요에 따른 충족을 보다 명확하기 측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미충족 치과의료의 원인으로는 경제적 부담, 직업/학업적 이유, 다른 문제에 비해 덜 중요해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치과의료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건강 상태, 씹기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과 관련하여 치과의료비의 본인부담금의 비중을 낮추는 방안을 제안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과 의료서비스 접근에 있어 취약한 집단을 파악하고, 해당 집단에 대한 보건의료 정책 개발 및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met dental care needs and related factors among adults in Korea. The study includ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104). The dependent variable was unmet dental care need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The major causes of unmet dental care needs included economic burden, work life, and academic reasons; in addition, dental treatment was considered to have lower priority. The factors tha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unmet dental care needs were sex, ag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difficulty in mast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a need for lower dental insurance copayments in keeping with the policies and principl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addition, groups with limited access to dental services should be identified, and effective health care policies and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se individua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