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CRP는 심혈관계질환자의 예후 추정뿐만 아니라, 정상인들에게서 향후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이내와 혈압과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성인 20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004년 1월 31일 현재 전남 순천시 낙안면 중 창녕, 신기와 목촌, 평사, 신전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이상 주민 528명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혈압, 신장, 체중, 혈청 지질 및 혈당과 hsCRP를 측정하는 임상검사와 생활습관 등의 고혈압 위험요인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어떤 연구에선CRP가 고혈압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CRP와 혈압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이완기혈압은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hsCRP의 분위수가 증가할수록 이완기혈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염증상태를 반영하는 CRP가 고혈압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특정 지역과 연령대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아닌 도시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적인 성인을 대상을 하여 이내와 혈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